사진=뉴스1
사진=뉴스1
22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자산운용시장에 대해 "사모펀드 사태에 따른 신뢰 위기와 경제·금융시장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자산운용 산업은 양적 성장을 거듭했고 새로운 사모펀드 규율체계도 시장에 연착륙했다"고 평가했다.

이 원장은 금융감독원·금융투자협회가 공동으로 개최한 자산운용사 CEO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히며 "이제 양적 성장과 더불어 질적 성장을 위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자산운용사 10곳의 대표와 이인형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형석 한국ESG기준원 정책연구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이 원장은 "금융감독원은 신속한 인허가와 펀드 심사를 통해 신사업 추진을 적극 지원하고, ESG 펀드 공시기준 마련 등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겠다"며 "업계와 긴밀한 소통을 이어가면서 자산운용 산업 발전의 든든한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자본시장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자산운용 업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역할에 대해 △시장을 읽는 통찰력을 바탕으로 자본시장을 이끄는 플레이 메이커 역할 △국민의 자산관리자로서 재무 설계를 돕는 길잡이 역할 △ESG 기업의 적극적 발굴과 책임있는 의결권 행사 등을 통한 건전한 기업경영문화의 선도자 역할을 제시했다.

이어서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은 "협회도 자산운용 산업의 선진화를 위해 정책·감독당국과의 가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자산운용사들이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자율규제기관으로서의 지원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또 서 회장은 "운용사의 역량 강화, 효율적 운용규제 개선 등을 통해 펀드가 '일반 국민의 재산증식 수단'이라는 본연의 역할에 충실해야 할 것"이라며 "책임운용을 통한 올바른 투자문화 조성, ESG 기업의 적극적인 발굴과 책임 있는 의결권 행사 등을 통한 건전한 기업경영문화를 선도하겠다"고 했다. 이어서 "자본시장의 디지털화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와, 적극적인 해외진출 등 신성장을 위한 미래 준비에도 공 들이겠다"고 전했다.

이인형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ESG 펀드 관련 글로벌 공시규제 현황과 시사점을 공유했고, 김형석 한국ESG기준원 본부장은 기관투자자 수탁자 책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효율적·효과적 이행을 위한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자산운용사 대표들은 자본시장의 발전을 위한 자산운용 산업의 선도적 역할과 책임에 대해 공감하면서, 자산운용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감독당국의 지원을 바란다고 전했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