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오염수 10년 방출시, 韓해역 삼중수소 '10만분의 1' 더해져"(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33년까지 오염수 방출 가정하에 시뮬레이션…"분석기기로는 검출되기 힘든 농도"
일본이 올해 3월부터 10년에 걸쳐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오염수를 방류할 경우 한국 해역의 트리튬(삼중수소) 농도는 기존의 10만분의 1 정도 높아질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과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연구자들은 16일 제주 라마다호텔에서 열린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확산 시뮬레이션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시뮬레이션은 일본이 올해 3월부터 2033년 3월까지 10년간 연간 최대 22 T㏃(테라베크렐·베크렐은 방사능 단위)의 삼중수소가 포함된 오염수를 방출한다는 가정하에 두 기관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입자추적 기법 방사능 물질 확산모델을 활용했다.
삼중수소는 오염수에 가장 많이 포함된 방사성 핵종으로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제거되지 않는다.
삼중수소는 해양으로 방류되면 물처럼 해류를 따라 확산·이동한다.
연구진에 따르면 후쿠시마 앞바다에 방출된 삼중수소는 10년 후 북태평양 전체로 확산한다.
우리나라 관할 해역에 유입되는 삼중수소는 2년 후 0.0001㏃/㎥ 농도로 일시적으로 유입됐다가 4∼5년부터 본격적으로 들어온다.
10년 후 약 0.001㏃/㎥ 내외로 수렴된다.
0.001㏃/㎥는 현재 국내 해역의 평균 삼중수소 농도 172㏃/㎥의 10만분의 1 수준이다.
이는 현재 분석기기로는 검출되기 힘든 정도의 농도라고 연구진은 전했다.
김경옥 해양과기원 책임연구원은 "방출된 오염수는 대개 구로시오 해류를 타고 미국 쪽으로 이동한다"며 "이 해류를 거치지 않고 관할 해역에 바로 유입되는 건 특이한 경우인데 이 역시 고려한 연구 결과"라고 말했다.
이어 "해류는 꾸준히 흐르지 않고 계절별 변동이 있다"며 "방류 2년 뒤 일시적으로 삼중수소가 유입되는 이유도 이 시기 해류가 강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연구진은 삼중수소가 우리나라 관할 해역에 유입됐을 때 생태계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는 연구 내용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연합뉴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과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연구자들은 16일 제주 라마다호텔에서 열린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확산 시뮬레이션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시뮬레이션은 일본이 올해 3월부터 2033년 3월까지 10년간 연간 최대 22 T㏃(테라베크렐·베크렐은 방사능 단위)의 삼중수소가 포함된 오염수를 방출한다는 가정하에 두 기관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입자추적 기법 방사능 물질 확산모델을 활용했다.
삼중수소는 오염수에 가장 많이 포함된 방사성 핵종으로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제거되지 않는다.
삼중수소는 해양으로 방류되면 물처럼 해류를 따라 확산·이동한다.
연구진에 따르면 후쿠시마 앞바다에 방출된 삼중수소는 10년 후 북태평양 전체로 확산한다.
우리나라 관할 해역에 유입되는 삼중수소는 2년 후 0.0001㏃/㎥ 농도로 일시적으로 유입됐다가 4∼5년부터 본격적으로 들어온다.
10년 후 약 0.001㏃/㎥ 내외로 수렴된다.
0.001㏃/㎥는 현재 국내 해역의 평균 삼중수소 농도 172㏃/㎥의 10만분의 1 수준이다.
이는 현재 분석기기로는 검출되기 힘든 정도의 농도라고 연구진은 전했다.
김경옥 해양과기원 책임연구원은 "방출된 오염수는 대개 구로시오 해류를 타고 미국 쪽으로 이동한다"며 "이 해류를 거치지 않고 관할 해역에 바로 유입되는 건 특이한 경우인데 이 역시 고려한 연구 결과"라고 말했다.
이어 "해류는 꾸준히 흐르지 않고 계절별 변동이 있다"며 "방류 2년 뒤 일시적으로 삼중수소가 유입되는 이유도 이 시기 해류가 강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연구진은 삼중수소가 우리나라 관할 해역에 유입됐을 때 생태계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는 연구 내용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