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개발한 나노센서 검출성능기술, 국제표준으로 제정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한국이 국제표준화기구(ISO)에 제안한 '나노센서 검출성능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제정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번에 제정된 표준은 2019년 11월부터 논의와 검증 과정을 거친 것으로, 선진국이 주도하는 나노기술 분야에서 한국이 개발한 나노센서 관련 첫 국제표준이라는 의의가 있다고 국표원은 소개했다.

나노센서는 기존 센서에 나노물질을 이용해 성능을 향상한 센서 또는 나노 물질과 나노전자소자를 결합해 만든 새로운 개념의 센서를 말하며, 기존 센서보다 높은 감도를 가진다.

최근에는 나노센서가 바이오, 환경 등의 분야에 신호 검출을 위한 센서로 활용되는 추세다.

구체적으로 바이오 장비, 진단기기, 위해 환경 감지기, 웨어러블 기기 등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으로 부상했다.

글로벌 나노센서 시장은 2021년 7억1천50만달러에서 2027년 13억7천560만 달러로 연평균 11.7%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상황에서 그간 나노센서의 검출성능 평가는 민감도와 특이도를 활용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초미세 크기까지 검출 가능한 나노센서의 성능을 제대로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국제표준 개발이 추진됐다.

이번에 제정된 국제표준은 우리나라 연구진이 개발한 검출성능 평가 기준(검출신호비율, Detection Signal Ratio)을 새롭게 정의한 것이 핵심이다.

산업부는 "이 기준을 적용하면 나노센서와 일반센서의 성능을 제대로 평가·비교할 수 있게 돼 국내외 센서 시장에 나노센서 보급 확대와 신제품 개발을 촉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나노센서 국제표준 기준으로 발급된 공인 시험성적서가 국내 식약처나 미국식품의약국(FDA)의 승인에 활용이 가능해지면 향후 한국 제품의 해외시장 확대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진종욱 국표원장은 "나노센서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국제표준 선점과 기업을 지원하는 국제 표준화 활동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