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지지율·수도권 정치 이력…등판 시 친윤계 라이벌 구도 전망
尹대통령 임명한 '저출산고령사회위 부위원장·기후환경대사'부담?
與 전대 '변수', 나경원에 쏠리는 눈…羅 "조금 더 고심"
국민의힘 차기 당 대표를 뽑는 전당대회를 두 달여 앞두고 나경원 전 의원에게로 쏠리고 있다.

나 전 의원의 등판 여부가 이번 전당대회의 최대 변수로 부상하면서다.

ADVERTISEMENT

당내에선 나 전 의원이 도전장을 내밀 경우, 현재 장제원 의원을 비롯한 친윤계의 측면 지원을 받는 김기현 의원의 강력한 라이벌이 될 것이란 전망이 적지 않다.

17대 국회에서 비례대표 의원으로 여의도 정치무대에 데뷔한 나 전 의원은 18·19·20대 국회의원을 내리 서울(중구·동작을)에서만 지낸 4선 의원이다.

보수진영 내 대표적인 수도권 정치인으로 꼽힌다.

ADVERTISEMENT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원내대표를 지내기도 한 나 전 의원은 21대 총선에서 낙선한 뒤 2021년 6·11 전당대회에 도전했지만, 이준석 전 대표에게 고배를 마셨다.

당시 당심(당원투표)에서 우세했지만 민심(일반국민 여론조사)에서 밀렸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장관급인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과 기후환경대사 등 두 가지 직을 현재 겸하고 있다.

ADVERTISEMENT

與 전대 '변수', 나경원에 쏠리는 눈…羅 "조금 더 고심"
전당대회를 앞두고 나 전 의원이 변수로 돌출한 것은 각종 여론조사에서 고르게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당대회 룰(규칙)이 '당원투표 100%'로 변경된 데 따라 '국민의힘 지지층'만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도 그는 높은 순위를 유지하고 있다.

당내에선 4선 의원의 관록으로 쌓인 높은 인지도와 서울에서만 3선에 성공한 이력을 나 전 의원의 정치적 강점으로 꼽는 시각이 있다.

ADVERTISEMENT

전대 룰이 '당심 100%'로 개정되면서 다수인 영남권 당원 의견이 과다 대표 될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나 전 의원을 향한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윤상현(인천 동·미추홀을) 의원이 불을 댕긴 '수도권 대표론'에 대해선 나 의원 스스로도 "수도권에서 정치한 것을 생각하면 내가 제일 오래 했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높은 인지도와 상위권 여론조사 결과에도 불구하고 나 의원은 정작 출마 여부에 대해선 말을 아끼고 있다.

나 위원장은 4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출마 결심을 묻는 질문에 "조금 더 보겠다"며 즉답을 피했다.

與 전대 '변수', 나경원에 쏠리는 눈…羅 "조금 더 고심"
그가 출마 여부를 두고 장고에 들어간 이유를 놓고 당 안팎에선 설왕설래가 오간다.

우선 윤석열 정부에서 저출산·고령화와 기후환경이라는 어젠다를 총괄하는 중책을 맡은 만큼, 당권에 도전장을 내기엔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있다.

윤석열 대통령의 임명장을 받아들었다가 여당 대표로 자리를 이동하려 한다면, 그에 앞서 임명권자인 윤 대통령과의 사전 교감이 필요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당 일각에선 윤 대통령이 나 전 의원에게 중요한 직책을 두 가지나 맡긴 것은 당권보다는 정부 정책에 집중해달라는 뜻이라는 해석도 있다.

이른바 '김장연대'(김기현·장제원)로 요약되는 친윤(친윤석열)계 의원들의 '친 김기현' 행보도 나 전 의원 등판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당장 당내 최대 친윤모임 '국민공감' 소속 의원 40여명은 오는 5일 배현진(서울 송파을) 의원의 당원협의회 당원연수에 대거 출동할 예정이다.

당내에선 장제원 의원을 비롯한 친윤 의원들이 김기현 의원을 지원한다는 의미의 '세 과시' 의도가 담겼다는 말도 나왔다.

이런 만큼 이제는 나 전 의원의 정치적 결단만 남은 셈이다.

김재원 전 최고위원은 이날 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나 전 의원이) 출마할 마음은 굴뚝 같은데 '전 의원'이나 '전 대표'가 아니라 저출산고령화 부위원장이다.

직책에 대해 소중하게 생각하는 분이라 그에 대한 고민이 있을 것"이라고 한 뒤, 출마 가능성에 대해선 "반반"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