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복권 당첨' 후 결혼 관계 유지가 더 힘들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중위권 이하 소득의 여성에서 이러한 결과가 두드러졌다.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 소재한 전미경제연구소는 최근 '재정자원이 주택 소유, 결혼, 출산에 미치는 영향 : 주(州) 복권의 증거'란 보고서를 발표했다. 당첨자들이 다른 외부적 변수가 없이 큰 소득을 한 번에 얻으면 그렇지 않은 이들에 비해 삶이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경제학적으로 분석한 연구다.

연구는 2000~2019년 미국의 주(州) 복권을 구매해 최소 1000달러 이상 당첨된 25세에서 44세 사이 88만8000명을 조사했다. 이들의 연방 세금 납부기록, 주택금융 명세서 등을 토대로 복권에 당첨된 당해와 이후 5년간 결혼과 출산, 주택 소유 증감률을 분석했다.

조사 결과, 평균 당첨금 10만 달러당 주택 소유 확률은 5% 포인트 이상 높아졌다. 복권 당첨금의 14%가 주택용으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혼 당첨자들은 복권에 당첨되고 1년 후, 10명 중 약 1명이 결혼했다. 이 수치는 일반적인 상태에서 3년간 발생하는 결혼확률과 비슷한 수준이다. 당첨자들은 고소득층을 결혼 배우자로 맞이하게 될 가능성이 높았다. 보고서는 "결혼 전에 돈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있는 사회문화적 규범이 작용했다"며 "특히 당첨되기 전에 금융자산이 없던 당첨자들에게 더욱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다만 기혼인 상태에서 복권에 당첨된 이들의 이혼율은 높아졌다. 특히 중위소득 이하 여성의 경우 당첨 후 결혼을 유지할 확률은 당첨된 해에는 2.15% 포인트 감소했다. 이후 이들의 5년간 결혼 유지율은 최대 3.74%포인트까지 떨어졌다.

중위소득 이상 여성들은 이런 경향이 덜했다. 이들은 당첨된 해와 이후 3년까지 감소율이 1%포인트 미만의 미미한 수준에 그쳤다. 다만 당첨 4년 차와 5년 차엔 각각 1.13%포인트, 1.79%포인트 감소했다.

남성의 경우, 복권 당첨이 결혼 유지에 미친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남성은 소득 여부와 관계없이 결혼 유지율이 당첨된 후 5년간 매해 -1%포인트~1%포인트 사이를 오르내렸다.

이와 관련해 보고서는 "(복권 당첨이라는) 재정적 차이는 결혼을 안정시킨다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며 "오히려 그 반대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복권 당첨이 출산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아이를 갖지 않은 당첨자들이 아이를 갖게 되는 시기가 앞당겨지기는 했으나, 합계 출산율에는 영향이 없었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