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멈췄던 '한빛 4호기' 재가동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안전 점검 명목으로 5년 넘게 멈춰서 있는 전남 영광 한빛원전 4호기의 재가동을 9일 승인했다. 조기 폐쇄된 월성 1호기, 건설 중단된 신한울 3·4호기와 함께 문재인 정부 탈원전 정책의 상징으로 꼽혔던 한빛 4호기가 재가동에 들어가는 것이다.

원안위는 이날 영광사무소에서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등과 회의를 열어 한빛 4호기의 임계를 허용했다. 임계는 원자로 내 핵분열 반응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로, 임계 허용은 재가동 승인을 뜻한다.

한빛 4호기는 11일 발전을 재개해 오는 15일께 풀가동(출력 100%) 상태에 도달할 예정이다. 2017년 5월 격납건물 정기정비에서 콘크리트 공극(틈)이 발견돼 가동을 중단한 지 5년7개월 만이다. 원안위는 현재까지 시행한 공극 검사와 구조 건전성 평가 결과 원전 운영의 안전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한수원은 한빛 4호기 재가동을 통해 올겨울 1000㎿의 전력을 추가 공급할 수 있게 됐다. 현재 원전 발전량(1만9500㎿)의 5% 수준이다.

한빛 4호기 15일 풀가동…윤석열 정부, 脫탈원전 속도
원안위 "안전성 확인" 발표에도 지역 환경단체는 여전히 반발

5년간 멈췄던 '한빛 4호기' 재가동
전남 영광군에 있는 한빛원전 4호기는 2017년 5월 18일 격납건물 정기 정비에서 콘크리트 공극(틈)이 발견된 뒤 약 5년7개월간 멈춰 서 있다. 2017년 11월 국무조정실 주관으로 민관합동조사단이 꾸려졌고, 2년여의 조사 끝에 140개의 격납건물 공극과 외벽 철근 노출 23건이 발견되면서 안전성 문제가 제기됐다. 공극 중에는 길이가 최대 157㎝에 이르는 대형 틈도 있었다. 문재인 정부는 안전 확인을 위해 검사와 점검 과정을 거치며 한빛 4호기 재가동을 미뤘다.

에너지업계에선 한빛 4호기 재가동이 장기간 미뤄진 배경엔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있다는 시각이 많다. 지난 정부 내내 한빛 4호기 보수를 위한 각종 검사를 거쳤는데도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추가 조사와 검증을 이유로 재가동 승인을 미뤘다는 것이다. 한국전력기술은 2020년 3월부터 격납건물이 안전한지 평가한 결과 ‘문제없다’는 결론을 냈다.

프랑스 프리마톰과 한국콘크리트학회가 별도 검증 작업을 했고 여기서도 ‘이상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 그런데도 원안위는 작년 하반기 한국원자력기술원에 한국콘크리트학회 보고서의 재검증을 요구했고 여기서도 별다른 이의 제기가 없었다.

하지만 원안위는 지난 1월 지역주민과의 협의 부족을 이유로 한빛 4호기 안전성 평가 보고 안건 상정을 취소했고, 한국수력원자력에 상부 돔 안전성 검사를 지시했다. 한수원은 한빛 4호기 내 모든 격납건물에서 기준 두께(5.4㎜)에 미달하는 내부 철판을 교체하는 등 임계(재가동 승인) 전까지 수행해야 할 87개 검사와 안전성 평가를 마쳤다. 건물 틈을 메우고 건물 외부로 노출된 철근 보수도 완료했다. 보수 후 누설률은 허용 기준치 이내로 들어왔다. 그런데도 재가동이 차일피일 미뤄지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에야 이뤄진 것이다. 지난 정부가 임명한 원안위원 중 국회 추천 몫 3인이 지난 10월 교체된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단체는 재가동에 반발했다. 한빛핵발전소대응호남권공동행동은 9일 “사고가 나면 큰 피해를 보게 될 주민과 지방자치단체, 시민단체 등의 강한 반대를 완전히 무시한 결정”이라며 “한빛 4호기 재가동을 당장 중단하고 격납건물 전수조사와 구조 건전성평가, 검증을 다시 시행하라”고 주장했다.

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