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피해규모 1.2조원…공장 적재공간 부족해 감산 검토
이번주 정유·석유화학·철강 등 업무개시명령 검토
화물연대 파업에 철강·정유 등 5대 업종 출하 차질 3.5조(종합)
정부가 13일째에 접어든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인한 철강·석유화학·정유·시멘트·자동차 등 5대 업종의 출하 차질 규모를 3조5천억원으로 추산했다.

정부는 정유, 철강, 석유화학 분야 업무개시명령을 이번주 중으로 발동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주요 업종 피해 상황 점검과 대응방안 논의를 위한 긴급 점검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산업부는 전날까지 5대 주요 업종에서 3조5천억원의 출하 차질이 발생했으며, 특히 철강·석유화학은 적재 공간 부족으로 이르면 이번주부터 감산을 검토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철강협회는 5일 기준 5대 철강사(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세아제강, KG스틸)의 출하 차질 규모를 92만t으로 추산했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1조2천억원으로, 일주일새 피해 규모가 약 5천억원 가량 늘었다.

이날 오전 8시 기준 전국 품절 주유소는 85개소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서울(27곳)과 경기(21곳)가 가장 많았고 강원(10곳), 충남(9곳), 충북(7곳), 대전(8곳) 등이 뒤를 이었다.

품절 주유소는 지난 4일 88곳, 5일 96곳까지 늘었다가 이날 오전까지 11개소가 감소했지만 강원, 충청 등 비수도권 지역 주유소로도 피해가 확산하는 양상이다.

화물연대 파업에 철강·정유 등 5대 업종 출하 차질 3.5조(종합)
업무개시명령이 내려진 시멘트 업계는 업무에 복귀한 운송사와 차주가 늘면서 출하량이 평시의 88% 수준으로 회복됐다.

산업부는 산업별 피해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국가 경제 위기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업무개시명령을 즉각 발동할 수 있도록 준비를 마쳤다고 설명했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막대한 피해가 현실화되기 전에 이번주 중에라도 선제적으로 정유, 철강, 석유화학 분야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기업들이 화물연대의 불법행위를 묵인·타협하기보다 적극적으로 정부에 도움을 요청해 달라"며 "무역협회처럼 다른 협회·단체들도 중소 화주의 손해배상 소송 지원을 검토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무역협회에는 이날 오전 10시까지 82개 화주사로부터 139건(중복선택 가능)의 화물연대 파업 관련 애로사항이 접수됐다.

납품 지연으로 위약금이 발생하거나 해외 바이어 거래가 단절된 사례가 60건(43.2%), 물류비 증가 41건(29.5%) 등이다.

원·부자재 반입에 차질이 발생하면서 생산이 중단된 사례도 31건(22.3%)에 달했다.

철강협회는 이날 성명을 내고 화물연대에 파업을 즉각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철강산업의 출하 차질은 자동차, 조선, 기계 등 국내 주력산업의 위기로 확산되고 있다"며 "정부는 화물연대의 집단행동을 수용하지 말고 법과 원칙에 따라 철강 물류를 정상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