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전 후 전선 최근접…폭발 2개월후 복구 상황 점검
벤츠 운전해 크림대교 찾은 푸틴…"본토 연결 육로 중요성 강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10월 초 대규모 폭발 사건이 발생한 크림대교의 복구 현장을 방문했다고 AP, 로이터 통신 등이 5일(현지시간) 러시아 국영 TV를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크림대교에서 메르세데스 벤츠 승용차를 직접 운전하고, 차에서 내려 복구 상황을 둘러봤다.

그는 현장 근로자를 격려하는 한편 마라트 후스눌린 부총리로부터 복구 작업에 대해 보고를 받았다.

크렘린궁은 "우크라이나가 계속해서 크림대교 공격에 대해 위협하는 가운데 푸틴 대통령이 크림반도로 이어지는 육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전했다.

또한 푸틴 대통령이 크림반도와 러시아 사이의 안전한 육로 운송 연결을 보장할 것을 당부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방문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래 푸틴 대통령이 전선에 가장 가까이 방문한 사례라고 AFP는 설명했다.

크림대교는 2014년 러시아가 합병한 크림반도와 러시아 본토를 직접 연결하는 유일한 육로로서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군의 핵심 보급로 역할을 한다.

또한 2018년 5월 18일 개통식 당시 푸틴 대통령이 직접 트럭을 몰아 다리를 건널 정도로 의미를 부여하면서 '푸틴의 자존심'이라는 평가를 받는 등 러시아에 실질적·상징적으로 큰 의미를 지닌 교량이다.

그러나 푸틴 대통령의 70세 생일 이튿날인 지난 10월 8일 폭발로 인해 차량용 교량 일부가 붕괴하고 열차 교량 일부가 크게 손상됐다.

러시아는 이를 우크라이나에 의한 테러로 규정하고 이틀 뒤인 10월 10일 수도 키이우를 포함해 우크라이나 전역에 84발의 미사일을 퍼붓는 대대적 공습을 가했다.

이로 인해 우크라이나 민간인 최소 14명이 숨지고 100여 명이 다쳤으나 이후로도 민간·기반시설을 겨냥한 러시아의 공습은 끊이지 않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당시 "우리 영토에서 이런 일이 계속된다면 러시아의 대응은 가혹할 것"이라며 공습이 크림대교 폭발 사건에 대한 보복임을 인정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