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자산운용기관 유치 등 강조…"전주 중심 컨퍼런스도 확대"
"연금 고갈시 적립식→부과식…세대 형평성 고려한 연금개혁 고민"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제3금융중심지, 독자적 전략 필요"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은 5일 "전북 전주가 제3금융중심지로 도약하려면 독자적인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날 공단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에서 "전임 이사장들이 제3금융중심지 지정을 위해 노력해준 덕분에 (전북에) 9개 금융기관이 들어왔다"며 "이러한 바탕 위에 해야 할 일은 3가지"라고 가이드라인을 내놨다.

먼저 김 이사장은 "금융기관 유치 방식이 더 체계적이어야 한다"며 "전주가 국내 금융기관 유치에 뛰어들면 서울, 부산 같은 대도시는 전주를 같은 파이를 나눠 먹는 경쟁자로 여길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전주가 오히려 파이를 키운다는 생각을 할 수 있도록 해외 유수의 자산운용기관 등을 유치하는 게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김 이사장은 두 번째로 "독자적인 금융 활동을 강화하는 방안이 있다"며 "전주를 중심으로 한 국제금융컨퍼런스나 세미나, 설명회 등 금융 활동을 해야 인포메이션 허브가 축적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마지막 전략으로는 "금융중심지를 바라보는 금융위원회 위원들의 시각의 문제"라며 "전주를 중심으로 한 제3금융중심지 추진은 균형의 훼손이 아니라 특화된 영역에서의 선의의 경쟁이고, 이것이 여러 시너지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어필해나갈 생각이다"라고 계획을 밝혔다.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제3금융중심지, 독자적 전략 필요"
국민연금 기금 고갈 우려와 연금개혁 등에 대한 입장도 재확인했다.

김 이사장은 국민연금의 지속가능성, 재정 안정성을 도모하겠다면서도 "기금이 소진되면 적립식에서 부과식으로 변환된다"며 "모자라는 부분은 국가가 메워주는 식으로 연금을 지급한다.

(국민이) 연금을 못 받는 상황을 국가가 내버려 두겠느냐"고 말했다.

또 연금개혁 방향 관련해서는 "연금 지급 연령을 어떻게 바꿀 것인지, 젊은 세대와 미래 세대 사이 형평성 등을 고려한 방향으로 개혁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마이너스 기금운용 수익률에 관해 "국제 시장 충격으로 국내 주식과 채권, 해외주식 등이 마이너스였다"며 "여러 경험을 통해 투자를 다변화하고 자산운용도 유연하게 할 것"이라면서도 미국, 네덜란드, 노르웨이 등 해외 주요 연기금과 비교해 양호한 편이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김 이사장은 경기도와 진행 중인 일산대교 사업권 인수 협상에 답답함도 드러냈다.

국민연금공단은 일산대교 운영사인 ㈜일산대교의 대주주다.

김 이사장은 "경기도가 '사업시행자 지정취소 처분 취소' 소송에서 패소하고 항소했다"며 "중간에 한번 (법정 다툼을) 끊어야 협의가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어 "(경기도가) 사업자 인수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도 가져오지 않는데 협의가 제대로 이뤄질 리 없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