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등 중국 주요 도시가 코로나19 방역 정책을 잇달아 완화하고 나섰다. 시진핑 국가주석이 추가 해제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위드코로나' 전환이 더 빨라질 것이란 전망이다.

베이징은 5일부터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유전자증폭(PCR)검사 음성 결과를 제출하지 않아도 된다고 3일 발표했다. 이제까진 '2일 이내 음성' 결과가 있어야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었다. 또 상당수 쇼핑몰과 백화점도 이런 제한을 없앴다.

톈진, 충칭, 광둥성 광저우와 선전, 쓰촨성 청두 등 주요 대도시가 베이징처럼 대중교통 이용 시 PCR검사 음성 결과 제출 의무를 철폐했다. 또 광저우, 선전, 청두, 충칭, 선양, 정저우 등은 공공장소 출입 시에도 음성 결과를 확인하지 않기로 했다.

중국이 PCR검사를 완화하는 것은 최근 나온 '위드코로나' 정책 중 가장 파급력이 클 것으로 관측된다. 중국은 그동안 '제로코로나'를 달성하기 위해 1~3일에 한 번은 PCR검사를 받도록 했다. 음성 결과가 없으면 공공장소에 갈 수 없고 대중교통도 이용할 수 없었다. 봉쇄 중심의 고강도 방역에 반대하는 '백지 시위'에서도 강제 검사 반대가 핵심 요구사항이었다.

PCR검사 의무를 없애면 감염자가 병원에 가거나 자진해서 신고하지 않는 이상 확진자로 분류되지 않는다. 중국은 확진자가 나온 아파트 한 동을 고위험지역으로 지정하고 봉쇄해 왔기 때문에 시민들은 강제 검사에 상당한 부담을 느껴왔다.

확진자와 밀접접촉자를 무조건 시설에 격리하는 정책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베이징 차오양구 등에선 감염자에게 자가격리를 허용하기 시작했으며 고위험지역 지정도 자제하고 있다.

시진핑 주석은 지난 2일 샤를 미셸 유럽연합(EU) 정상회의 상임의장과의 회담에서 "현재 중국에서 확산 중인 오미크론은 이전 델타에 비해 훨씬 덜 치명적"이라며 "이는 우리가 더 많이 규제를 개방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고 말했다.

중국의 코로나19 신규 감염자가 줄어드는 것도 위드코로나 기조에 힘을 싣고 있다. 전날 코로나19 신규 감염자는 3만889명(무증상에서 확진으로 재분류된 712명 제외)으로 집계됐다. 역대 최다였던 지난달 27일(3만8808명) 이후 엿새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다만 중국에선 방역정책을 너무 빠르게 풀면 사망자가 급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여전하다. 저우자퉁 중국 광시좡족자치구 질병통제센터장은 코로나19 방역 조치를 홍콩처럼 즉각 완화하면 본토 확진자 수가 2억3300만명으로 늘고, 사망자도 200만명까지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전날까지 중국의 누적 사망자 수는 5233명이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