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전쟁으로 탄력 잃은 세계 경제…인플레 잡기가 최우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플레 당분간 높겠지만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점진적 완화 예측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 2.2%로 전망 유지…내후년 2.7%로 소폭 반등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가져온 인플레이션 압력 등으로 세계 경제가 성장할 탄력을 잃어버린 만큼 각국 정부는 물가 상승 억제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제언했다.
프랑스 파리에 본부가 있는 OECD는 22일(현지시간) 펴낸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세계 경제가 1970년대 이후 최대 에너지 위기로 휘청거리고 있다"며 "고물가와 저성장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지불하는 엄청난 대가"라며 이같이 밝혔다.
OECD는 올해 세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3.1%로 잠정 집계했다.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에서 발목 잡혔던 세계 경제가 다시 기지개 켜기 시작한 지난해 GDP 성장률(5.9%)의 절반 수준이다.
2023년에는 세계 GDP 성장률이 2.2%로 더 낮아진다고 지난 9월 전망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미국과 유럽에서 성장이 둔화하고, 물가 상승 압박이 덜한 아시아에서 비교적 양호한 성적을 거둘 것으로 예측했다.
2024년에는 세계 GDP가 2.7%로 소폭 상승한다고 봤다.
미국에서는 고물가, 고금리, 강달러가 성장을 제약해 올해 GDP 성장률이 1.8%에서 내년 0.5%로 내려가고, 유로존에서는 에너지·식량 가격 인상과 공급 병목, 통화 긴축 여파로 올해 3.3%에서 내년 0.5%로 주저앉는다고 봤다.
러시아산 천연가스 의존도가 높아 러시아가 가스 공급을 줄였을 때 타격을 받은 독일의 내년 경제는 역성장한다는 전망을 유지하면서도 GDP 성장률 전망치를 -0.3%로 두 달 전보다 0.4%P 상향 조정했다.
올 한 해 총리가 두 번이나 바뀐 영국과 각종 제재가 내려진 러시아의 내년 경제 성장도 뒷걸음칠 전망이다.
OECD는 영국의 내년 GDP 성장률을 -0.4%, 러시아의 내년 GDP 성장률을 -5.6%로 각각 제시했다.
일본의 GDP 성장률은 올해 1.6%에서 내년 1.8%로 올랐다가 내후년 0.9%로, 중국은 올해 3.3%에서 내년 4.6%로 상승했다가 내후년 4.1%로 둔화할 것으로 예측했다.
한국은 올해 2.7%, 내년 1.8%, 내후년 1.9% 경제 성장을 예상했다.
OECD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전쟁을 일으키기 전부터 전 세계적으로 물가가 높아지는 분위기였는데, 전쟁을 계기로 물가 상승 속도가 가팔라졌다며 내년부터 물가 상승세가 점진적으로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OECD 회원국 기준 올해 물가상승률은 9.4%로 잠정 집계됐으며 내년 6.5%, 내후년 5.1%로 낮아진다고 예측했다.
주요 20개국(G20)을 기준으로 잡았을 때 물가상승률은 2022년 8.1%, 2023년 6.0%, 2024는 5.4%로 제시했다.
OECD는 올해 석유, 가스, 석탄, 금속, 밀, 옥수수, 식용유, 비료 등 주요 상품 가격이 빠르게 치솟은 데에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상당한 원인을 제공했다며 그 여파로 "많은 나라에서 실질 임금이 하락해 구매력이 떨어졌고, 인플레이션을 억제하지 못하면 이 문제들은 더 심각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전 세계 중앙은행들이 물가 상승을 막고자 기준 금리를 인상한 게 미국, 브라질 등에서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두고 있다며, 인플레이션 압력이 심한 나라에서는 통화 긴축 정책을 유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통화 정책과 재정 정책을 긴밀히 연계해야 한다며 에너지와 식량 등 물가 상승으로 고전하는 가계와 기업을 재정적으로 지원할 때 공공 부채 부담을 키우지 않도록 선별적이고, 일시적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OECD는 내년 세계 경제 성장의 위험 요인으로 유럽을 중심으로 한 에너지 공급 차질, 금리 상승에 따른 신흥국과 저소득 국가의 금융 취약성 부각,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식량 공급 제한 등을 꼽았다.
이번 전쟁으로 촉발된 에너지 위기에 맞서 각국 정부가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고, 에너지 공급처를 다변화해야 한다며 청정에너지 사용을 늘리고, 에너지 효율을 제고할 수 있도록 투자를 늘리라고 권고했다.
동시에 시장을 개방해 국제 무역을 활성화하고, 남녀 고용률 격차를 좁히는 방향으로 고용을 촉진하며, 기술 투자를 확대하는 등 구조적 개혁도 뒤따라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 2.2%로 전망 유지…내후년 2.7%로 소폭 반등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가져온 인플레이션 압력 등으로 세계 경제가 성장할 탄력을 잃어버린 만큼 각국 정부는 물가 상승 억제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제언했다.
프랑스 파리에 본부가 있는 OECD는 22일(현지시간) 펴낸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세계 경제가 1970년대 이후 최대 에너지 위기로 휘청거리고 있다"며 "고물가와 저성장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지불하는 엄청난 대가"라며 이같이 밝혔다.
OECD는 올해 세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3.1%로 잠정 집계했다.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에서 발목 잡혔던 세계 경제가 다시 기지개 켜기 시작한 지난해 GDP 성장률(5.9%)의 절반 수준이다.
2023년에는 세계 GDP 성장률이 2.2%로 더 낮아진다고 지난 9월 전망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미국과 유럽에서 성장이 둔화하고, 물가 상승 압박이 덜한 아시아에서 비교적 양호한 성적을 거둘 것으로 예측했다.
2024년에는 세계 GDP가 2.7%로 소폭 상승한다고 봤다.
미국에서는 고물가, 고금리, 강달러가 성장을 제약해 올해 GDP 성장률이 1.8%에서 내년 0.5%로 내려가고, 유로존에서는 에너지·식량 가격 인상과 공급 병목, 통화 긴축 여파로 올해 3.3%에서 내년 0.5%로 주저앉는다고 봤다.
러시아산 천연가스 의존도가 높아 러시아가 가스 공급을 줄였을 때 타격을 받은 독일의 내년 경제는 역성장한다는 전망을 유지하면서도 GDP 성장률 전망치를 -0.3%로 두 달 전보다 0.4%P 상향 조정했다.
올 한 해 총리가 두 번이나 바뀐 영국과 각종 제재가 내려진 러시아의 내년 경제 성장도 뒷걸음칠 전망이다.
OECD는 영국의 내년 GDP 성장률을 -0.4%, 러시아의 내년 GDP 성장률을 -5.6%로 각각 제시했다.
일본의 GDP 성장률은 올해 1.6%에서 내년 1.8%로 올랐다가 내후년 0.9%로, 중국은 올해 3.3%에서 내년 4.6%로 상승했다가 내후년 4.1%로 둔화할 것으로 예측했다.
한국은 올해 2.7%, 내년 1.8%, 내후년 1.9% 경제 성장을 예상했다.
OECD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전쟁을 일으키기 전부터 전 세계적으로 물가가 높아지는 분위기였는데, 전쟁을 계기로 물가 상승 속도가 가팔라졌다며 내년부터 물가 상승세가 점진적으로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OECD 회원국 기준 올해 물가상승률은 9.4%로 잠정 집계됐으며 내년 6.5%, 내후년 5.1%로 낮아진다고 예측했다.
주요 20개국(G20)을 기준으로 잡았을 때 물가상승률은 2022년 8.1%, 2023년 6.0%, 2024는 5.4%로 제시했다.
OECD는 올해 석유, 가스, 석탄, 금속, 밀, 옥수수, 식용유, 비료 등 주요 상품 가격이 빠르게 치솟은 데에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상당한 원인을 제공했다며 그 여파로 "많은 나라에서 실질 임금이 하락해 구매력이 떨어졌고, 인플레이션을 억제하지 못하면 이 문제들은 더 심각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전 세계 중앙은행들이 물가 상승을 막고자 기준 금리를 인상한 게 미국, 브라질 등에서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두고 있다며, 인플레이션 압력이 심한 나라에서는 통화 긴축 정책을 유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통화 정책과 재정 정책을 긴밀히 연계해야 한다며 에너지와 식량 등 물가 상승으로 고전하는 가계와 기업을 재정적으로 지원할 때 공공 부채 부담을 키우지 않도록 선별적이고, 일시적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OECD는 내년 세계 경제 성장의 위험 요인으로 유럽을 중심으로 한 에너지 공급 차질, 금리 상승에 따른 신흥국과 저소득 국가의 금융 취약성 부각,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식량 공급 제한 등을 꼽았다.
이번 전쟁으로 촉발된 에너지 위기에 맞서 각국 정부가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고, 에너지 공급처를 다변화해야 한다며 청정에너지 사용을 늘리고, 에너지 효율을 제고할 수 있도록 투자를 늘리라고 권고했다.
동시에 시장을 개방해 국제 무역을 활성화하고, 남녀 고용률 격차를 좁히는 방향으로 고용을 촉진하며, 기술 투자를 확대하는 등 구조적 개혁도 뒤따라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