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김정은 화성17형 현지지도로 '대륙간탄도미사일부대' 첫언급(종합2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관영매체 "김정은, ICBM부대에 경각심·훈련 지시"…北전략군 예하 추정
"北, 가까운 시일에 핵실험과 연계해 추가 발사 가능성" 전문가 전망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포-17형'(화성-17형) 발사 하루 만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현지지도 사실을 19일 공개하면서 '대륙간탄도미사일부대'를 처음으로 명시해 주목된다.
북한 관영매체 조선중앙통신은 전날 발사한 화성-17형이 최고고도 6천49㎞까지 치솟아 4천145초간 999.2㎞를 비행했다고 보도했다.
전날 우리 군의 탐지 결과(비행거리 약 1천km, 고도 약 6천100km)와 일치한다.
통신은 김 위원장이 현지지도에서 "핵전략무기들을 끊임없이 확대강화해나갈 데 대한 우리 당의 국방건설전략에 대하여 다시금 강조했"으며 "국방과학연구부문에서는 우리식의 주체전략무기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하며 대륙간탄도미사일부대들과 모든 전술핵운용부대들에서는 고도의 경각성을 가지고 훈련을 강화하여 임의의 정황과 시각에도 자기의 중대한 전략적임무를 완벽하게 수행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부대들'을 공개 언급한 것은 이번 보도가 처음이다.
현재까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부대의 소속이나 명칭을 우리 군이 공식 확인해 준 적은 없다.
다만 3~4년 전 북한의 전략군 조직 확대에 비춰 ICBM 담당 부대 운영 가능성은 제기됐다.
2020 국방백서에 따르면 북한군 편제에서 탄도미사일을 운용하는 상위 부대는 '전략군'이며, 전략군 예하에는 사거리에 따라 13개 미사일여단이 있다.
국방부는 ICBM과 신형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개발에 따라 2018년 말 기준보다 4개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했다.
싱크탱크 등 민간 연구자들은 전략군 예하에 13개 연대급 미사일 기지가 있으며 이 가운데 4개를 ICBM 관련 기지로 추정하기도 한다.
이날 북한은 화성-17형 발사 성공을 과시하면서 ICBM을 담당하는 대륙간탄도미사일부대를 여러 개 두고 있다고 처음 공개한 것이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은 "전략군 예하에 ICBM 운용 부대가 여러 개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었지만, 북한이 이를 대륙간탄도미사일부대라고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은 처음"이라며 "화성-17형 고각 발사 성공을 계기로 미국을 겨냥해 ICBM 역량과 실전 배치 준비가 상당한 수준이라는 점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북한의 ICBM 기지는 자강도 회중리 기지 등 북중 국경지대에 3개, 북한의 중간 지대에 1개가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본다.
북중 국경지대는 북한이 한미 연합 공중전력의 폭격을 회피하고자 전략미사일을 배치할 것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북한 '미사일 벨트' 개념에서 전략미사일이 주로 배치되리라 예상하는 의미에서 '전략벨트'로 불리는 북한 북부 지역이다.
그에 비해 준중거리탄도미사일(MRBM) 등이 배치된 북한 중부지대는 '작전벨트',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중심의 휴전선 부근 지역은 '전술벨트'로 각각 불린다.
다만 북한의 미사일이 다양해지면서 최근에는 이러한 '미사일 벨트' 개념이 큰 의미를 갖지 않는다는 견해도 있다.
이날 북한이 공개한 사진 속 화성-17형의 형태는 기존의 것과 동일하다.
심지어 이동발사대(TEL)에 부착한 차량 번호도 '321'로 같다.
종전 화성 계열 발사 공개 때와 비교해 쉽게 드러나는 차이는 미사일의 궤적과 비행거리 등을 보여주는 장비인 텔레메트리 모니터가 보이지 않는다는 정도다.
신 국장은 "전례에 비춰 보안 목적일 가능성은 크지 않고, 고각 발사에 성공했다는 자신감이 있고 한미일도 이를 인지하고 있으리라는 계산으로 굳이 공개하지 않은 것 같다"고 추측했다.
공개된 사진 중 일부는 이달 3일 발사 장면일 가능성도 제기됐다.
류성엽 21세기군사연구소 전문연구위원은 "18일 위성사진을 보면 평양 일대에 구름이 별로 없는데 김정은과 딸이 등장한 사진 속 하늘에는 구름이 가득하다"며 "김정은 부녀가 함께 발사 현장에 간 사진은 이달 3일 ICBM 발사 때 촬영됐다고 보는 게 더 자연스럽다"고 분석했다.
이번 ICBM의 탐지 제원이 지난 3월 ICBM과 거의 같다는 점에서 당시 미사일을 화성-15형이라고 보고한 우리 군의 평가를 재해석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조심스럽게 제기됐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당시 우리 군의 관측이 옳았는지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며 "3월 24일 ICBM 발사가 화성-17형 성공 결과였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군은 3월 24일 ICBM이 화성-15형이라는 판단을 현재까지도 유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머지않아 화성-17형을 추가로 발사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2017년 북한은 화성-14형을 2차례 쏜 뒤 6차 핵실험을 강행했고 그 후 화성-15형을 발사했다.
핵과 대륙간탄도미사일로 미국을 압박하는 전략이다.
정상각도 발사로 대기권 재진입 능력을 입증하고 양산·배치에 필요한 검증도 해야 하는 등 기술적 과제도 남았다.
홍 실장은 "검수, 양산, 배치 이러한 용어를 쓰면서 실전화를 공표하는 마지막 퍼포먼스를 11~12월에 최소 한두번 시행할 가능성이 커졌다"며 "핵무력 완성 5주년인 이달 29일이 대외 과시용으로 좋은 시점"이라고 예측했다.
신 국장은 "6차 핵실험 때와 비슷하게 전개된다면 조만간 추가 ICBM 발사와 핵실험이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北, 가까운 시일에 핵실험과 연계해 추가 발사 가능성" 전문가 전망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포-17형'(화성-17형) 발사 하루 만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현지지도 사실을 19일 공개하면서 '대륙간탄도미사일부대'를 처음으로 명시해 주목된다.
북한 관영매체 조선중앙통신은 전날 발사한 화성-17형이 최고고도 6천49㎞까지 치솟아 4천145초간 999.2㎞를 비행했다고 보도했다.
전날 우리 군의 탐지 결과(비행거리 약 1천km, 고도 약 6천100km)와 일치한다.
통신은 김 위원장이 현지지도에서 "핵전략무기들을 끊임없이 확대강화해나갈 데 대한 우리 당의 국방건설전략에 대하여 다시금 강조했"으며 "국방과학연구부문에서는 우리식의 주체전략무기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하며 대륙간탄도미사일부대들과 모든 전술핵운용부대들에서는 고도의 경각성을 가지고 훈련을 강화하여 임의의 정황과 시각에도 자기의 중대한 전략적임무를 완벽하게 수행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부대들'을 공개 언급한 것은 이번 보도가 처음이다.
현재까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부대의 소속이나 명칭을 우리 군이 공식 확인해 준 적은 없다.
다만 3~4년 전 북한의 전략군 조직 확대에 비춰 ICBM 담당 부대 운영 가능성은 제기됐다.
2020 국방백서에 따르면 북한군 편제에서 탄도미사일을 운용하는 상위 부대는 '전략군'이며, 전략군 예하에는 사거리에 따라 13개 미사일여단이 있다.
국방부는 ICBM과 신형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개발에 따라 2018년 말 기준보다 4개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했다.
싱크탱크 등 민간 연구자들은 전략군 예하에 13개 연대급 미사일 기지가 있으며 이 가운데 4개를 ICBM 관련 기지로 추정하기도 한다.
이날 북한은 화성-17형 발사 성공을 과시하면서 ICBM을 담당하는 대륙간탄도미사일부대를 여러 개 두고 있다고 처음 공개한 것이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은 "전략군 예하에 ICBM 운용 부대가 여러 개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었지만, 북한이 이를 대륙간탄도미사일부대라고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은 처음"이라며 "화성-17형 고각 발사 성공을 계기로 미국을 겨냥해 ICBM 역량과 실전 배치 준비가 상당한 수준이라는 점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북한의 ICBM 기지는 자강도 회중리 기지 등 북중 국경지대에 3개, 북한의 중간 지대에 1개가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본다.
북중 국경지대는 북한이 한미 연합 공중전력의 폭격을 회피하고자 전략미사일을 배치할 것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북한 '미사일 벨트' 개념에서 전략미사일이 주로 배치되리라 예상하는 의미에서 '전략벨트'로 불리는 북한 북부 지역이다.
그에 비해 준중거리탄도미사일(MRBM) 등이 배치된 북한 중부지대는 '작전벨트',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중심의 휴전선 부근 지역은 '전술벨트'로 각각 불린다.
다만 북한의 미사일이 다양해지면서 최근에는 이러한 '미사일 벨트' 개념이 큰 의미를 갖지 않는다는 견해도 있다.
이날 북한이 공개한 사진 속 화성-17형의 형태는 기존의 것과 동일하다.
심지어 이동발사대(TEL)에 부착한 차량 번호도 '321'로 같다.
종전 화성 계열 발사 공개 때와 비교해 쉽게 드러나는 차이는 미사일의 궤적과 비행거리 등을 보여주는 장비인 텔레메트리 모니터가 보이지 않는다는 정도다.
신 국장은 "전례에 비춰 보안 목적일 가능성은 크지 않고, 고각 발사에 성공했다는 자신감이 있고 한미일도 이를 인지하고 있으리라는 계산으로 굳이 공개하지 않은 것 같다"고 추측했다.
공개된 사진 중 일부는 이달 3일 발사 장면일 가능성도 제기됐다.
류성엽 21세기군사연구소 전문연구위원은 "18일 위성사진을 보면 평양 일대에 구름이 별로 없는데 김정은과 딸이 등장한 사진 속 하늘에는 구름이 가득하다"며 "김정은 부녀가 함께 발사 현장에 간 사진은 이달 3일 ICBM 발사 때 촬영됐다고 보는 게 더 자연스럽다"고 분석했다.
이번 ICBM의 탐지 제원이 지난 3월 ICBM과 거의 같다는 점에서 당시 미사일을 화성-15형이라고 보고한 우리 군의 평가를 재해석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조심스럽게 제기됐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당시 우리 군의 관측이 옳았는지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며 "3월 24일 ICBM 발사가 화성-17형 성공 결과였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군은 3월 24일 ICBM이 화성-15형이라는 판단을 현재까지도 유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머지않아 화성-17형을 추가로 발사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2017년 북한은 화성-14형을 2차례 쏜 뒤 6차 핵실험을 강행했고 그 후 화성-15형을 발사했다.
핵과 대륙간탄도미사일로 미국을 압박하는 전략이다.
정상각도 발사로 대기권 재진입 능력을 입증하고 양산·배치에 필요한 검증도 해야 하는 등 기술적 과제도 남았다.
홍 실장은 "검수, 양산, 배치 이러한 용어를 쓰면서 실전화를 공표하는 마지막 퍼포먼스를 11~12월에 최소 한두번 시행할 가능성이 커졌다"며 "핵무력 완성 5주년인 이달 29일이 대외 과시용으로 좋은 시점"이라고 예측했다.
신 국장은 "6차 핵실험 때와 비슷하게 전개된다면 조만간 추가 ICBM 발사와 핵실험이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