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전 의원. / 사진=뉴스1
유승민 전 의원. / 사진=뉴스1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유승민 전 의원이 이태원 참사 발생 관련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을 파면하라"고 한 것과 관련해 "지금은 모든 당력과 국력을 집중해 빨리 이 사태를 마무리하고 수습하는 게 제일 먼저"라고 말했다.

성 정책위의장은 1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 인터뷰에서 '유 전 의원이 이 장관을 파면해야 한다고 굉장히 강하게 주장했다'는 진행자의 말에 "지금 파면 얘기를 내놓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이 장관께서도 지금 밤잠 못 주무시면서 일하고 있다"며 "그런 문제를 지금 왜 거론하는지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성 정책위의장은 "지금은 모든 당력과 국력을 집중해서 빨리 이 사태를 마무리하고 수습하는 게 제일 먼저"라며 "국민 모두 트라우마에 빠져 있고, 슬픔을 주체할 수 없는 유가족도 있으니 이분들 위로부터 해야 한다. 논리적 문제 같은 부분은 그 이후에 (논의)해도 늦지 않다"고 했다.

그러면서 "불의의 사고로 유명을 달리하신 분들께 정말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명복을 빈다"며 "충격 속에서 안타까워하는 우리 국민 모두에게 정말 죄송하고 또 죄송하다는 말씀부터 드린다. 빨리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정부와 당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강조했다.
 1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에 마련된 이태원 핼러윈 압사 참사 추모공간을 찾은 추모객이 헌화를 하고 있다. / 사진=뉴스1
1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에 마련된 이태원 핼러윈 압사 참사 추모공간을 찾은 추모객이 헌화를 하고 있다. / 사진=뉴스1
앞서 유 전 의원은 전날 페이스북에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차디차게 돌아온 자식을 끌어안고 고통에 울부짖는 부모를 보며 눈물이 나고 분노가 치밀었다"면서 사고의 책임이 정부에 있다는 취지로 주장한 바 있다. 그는 "위험할 정도로 인파가 몰릴 것을 미리 예상하고 정부는 사전에 대비했어야 한다"며 "경찰이든 지자체든, 그게 정부가 할 일"이라고 했다.

유 전 의원은 '경찰력 증원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고가 아니었다'고 말해 논란을 빚은 이 장관에 대해선 "당장 파면해야 한다"고 강도 높게 지적했다. 그는 "전쟁이 난 것도 아니고 건물이 무너진 것도 아닌데, 아무런 잘못도 책임도 없을 수는 없다"며 "며칠 애도만 하고 수습만 하고 지나간다면 또 다른 재앙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유 전 의원은 이날 또 페이스북에 '국가는 재해를 예방하고 그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헌법 34조 6항을 올렸다. 유 전 의원은 해시태그 '국가는 왜 존재하는가'를 덧붙였다. 정부 책임론을 재차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 사진=연합뉴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 사진=연합뉴스
한편, 이 장관은 전날 이태원 참사 관련 브리핑에서 "예년과 비교했을 때 특별히 우려할 정도로 많은 인파가 모였던 것은 아니었다"면서 "경찰·소방 인력을 미리 배치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었던 문제는 아니었던 것으로 지금 파악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장관의 발언에 여야를 막론하고 비판이 쏟아졌다. 김기현 의원은 MBC 라디오에서 "국민의 아픔에 동참하는 모습이 아닌 형태의 언행은 조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경태 의원도 TBS 라디오에서 "장관의 발언 한마디 한마디가 논란을 빚는 것은 참으로 유감스럽다"고 했다.

파장이 거세지자 이 장관은 설명자료를 내고 자신의 발언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 그는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정확한 사고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국민들께서 염려하실 수도 있는 발언을 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