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첫 일자리 구직기간 길어진다…니트족 12만명
첫 일자리를 구하는 데 3년 넘게 시간을 쏟은 청년이 36만명에 육박했다.

3년 이상 취업하지 않고 그냥 시간을 보낸 청년도 8만명을 넘었다.

1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연합뉴스의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졸업 후 취업 경험이 있는 15∼29세 청년 가운데 첫 취업에 3년 이상이 걸린 사람은 올해 상반기(5월) 기준 35만8천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32만3천명)보다 3만5천명 증가한 수준이다.

취업 준비에 2년 이상∼3년 미만(27만5천명)이 소요된 사람을 포함하면 첫 구직에 2년 이상 시간을 쓴 청년은 63만3천명에 달했다.

임금 근로 기준 청년 취업 유경험자(401만8천명)가 첫 일자리를 구하는 데 걸린 기간은 평균 10.8개월로 집계됐다.

청년 취업 준비 기간은 2020년 10개월에서 2021년 10.1개월, 올해 10.8개월 등으로 최근 더 길어지는 추세다.

아예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고 뚜렷한 취업 준비도 하지 않은 채 시간을 보낸 청년 역시 여전히 많았다.

올해 상반기 기준 3년 넘게 취업하지 못한 상태로 집에서 시간을 보낸 청년 '니트족(일하지 않고 일할 의지도 없는 무직자)'은 8만4천명이었다.

이들 가운데 고졸자가 5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전문대(초급대, 2·3년제 대학 포함) 졸업자가 1만9천명으로 뒤를 이었다.

이외 대졸자가 9천명, 중졸자가 5천명 등이었다.

여기에서 청년기본법상 청년 연령인 34세 이하로 범위를 넓히면 3년 이상 장기 니트족은 12만6천명까지 늘어났다.

약 13만명에 달하는 34세 이하 청년이 장기간 아무런 경제활동이나 여가활동도 하지 않은 채 시간을 보냈다는 것이다.


이영호기자 hoya@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