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비상근 예비군 제도 지속 확대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동원전력사령부-상명대 국방 예비전력연구소 세미나
육군 동원전력사령부는 18일 60사단 안보교육관에서 상명대 국방 예비전력연구소와 공동으로 '예비 전력 발전 전문가 세미나'를 열었다.
세미나는 상명대 국가안보학과 윤지원 교수가 좌장을 맡아 '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본 예비전력의 실체적 발전방안'이라는 주제로 진행됐으며 국방부, 합참, 육군본부와 예비전력을 담당하고 있는 군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배일수(상명대 국방 예비전략연구소 연구원) 박사는 현재 60사단에서 시범 운용 중인 장기 비상근 예비군제도에 대한 중간평가 차원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배 박사는 "현역 장병과 예비군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와 설문, 훈련 결과 등을 통해 동원자원 관리, 부대 증·창설, 전투준비 등 전반적인 분야에서 장기 비상근 예비군이 동원 준비태세 향상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향후 장기 비상근 예비군제도가 지속 확대돼야 하며 이를 위해 법령 개정, 다양한 유형의 복무기간 운영, 단기·장기 비상근예비군 혼합 부대구조 발전" 등 정책적 대안을 제시했다.
이와 관련, 한국국방연구원 정철우 박사는 "장기 비상근 예비군제도의 활성화를 위해 정책적 보완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예비전력 관계관들이 공감대를 형성하고 공동의 노력을 집중해야 할 과제"라고 주장했다.
국방대 정일성 박사는 우리나라의 안보 현실을 고려할 때 가장 적합한 병역제도로 징·모 혼합제를 제시했다.
특히, 과학기술 강군 육성을 위한 ▲ 전문 전투 요원 5만∼10만 명 육성 ▲ 징집병의 선택복무제도 도입 ▲ 비상근 예비군의 상비군 부대로 확대 ▲ 비상근 예비군 복무 여건 제고 등 다양한 방법을 제안했다.
한국전략 문제연구소 윤진영 박사는 "정일성 박사가 제시한 방안이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국민적 동의와 법령 개정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지역 예비군 부대의 권역 단위 통합 편성과 기동화 운용 개념 적용방안, 예비전력 예산확보를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예산 소요에 대한 공감대 형성을 주문했다.
60사단은 올해 5월 16일부터 장기 비상근예비군 육군 시범부대로서 장기 비상근예비군 50명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은 사단 참모부와 예하 부대에서 현역들과 함께 임무를 수행하며 평시 동원훈련 및 전시 작전계획 발전 등에 이바지하고 있다.
/연합뉴스
육군 동원전력사령부는 18일 60사단 안보교육관에서 상명대 국방 예비전력연구소와 공동으로 '예비 전력 발전 전문가 세미나'를 열었다.
세미나는 상명대 국가안보학과 윤지원 교수가 좌장을 맡아 '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본 예비전력의 실체적 발전방안'이라는 주제로 진행됐으며 국방부, 합참, 육군본부와 예비전력을 담당하고 있는 군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배일수(상명대 국방 예비전략연구소 연구원) 박사는 현재 60사단에서 시범 운용 중인 장기 비상근 예비군제도에 대한 중간평가 차원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배 박사는 "현역 장병과 예비군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와 설문, 훈련 결과 등을 통해 동원자원 관리, 부대 증·창설, 전투준비 등 전반적인 분야에서 장기 비상근 예비군이 동원 준비태세 향상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향후 장기 비상근 예비군제도가 지속 확대돼야 하며 이를 위해 법령 개정, 다양한 유형의 복무기간 운영, 단기·장기 비상근예비군 혼합 부대구조 발전" 등 정책적 대안을 제시했다.
이와 관련, 한국국방연구원 정철우 박사는 "장기 비상근 예비군제도의 활성화를 위해 정책적 보완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예비전력 관계관들이 공감대를 형성하고 공동의 노력을 집중해야 할 과제"라고 주장했다.
국방대 정일성 박사는 우리나라의 안보 현실을 고려할 때 가장 적합한 병역제도로 징·모 혼합제를 제시했다.
특히, 과학기술 강군 육성을 위한 ▲ 전문 전투 요원 5만∼10만 명 육성 ▲ 징집병의 선택복무제도 도입 ▲ 비상근 예비군의 상비군 부대로 확대 ▲ 비상근 예비군 복무 여건 제고 등 다양한 방법을 제안했다.
한국전략 문제연구소 윤진영 박사는 "정일성 박사가 제시한 방안이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국민적 동의와 법령 개정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지역 예비군 부대의 권역 단위 통합 편성과 기동화 운용 개념 적용방안, 예비전력 예산확보를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예산 소요에 대한 공감대 형성을 주문했다.
60사단은 올해 5월 16일부터 장기 비상근예비군 육군 시범부대로서 장기 비상근예비군 50명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은 사단 참모부와 예하 부대에서 현역들과 함께 임무를 수행하며 평시 동원훈련 및 전시 작전계획 발전 등에 이바지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