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ㆍ신체활동 능력 부진 등 때문…복지는 '사각지대'

학습과 신체 능력이 떨어지는 청장년 '느린 학습자'의 44%가 초ㆍ중ㆍ고교에 다니는 등 온갖 고통을 겪는데도 복지 혜택을 거의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양시 '느린 학습자' 44%, 성년 돼도 초ㆍ중ㆍ고교 재학

경기 고양시 산하 시정연구원은 느린 학습자와 동거하는 252가구를 대상으로 경제력과 학습 지원, 장래 불안 요인, 희망 지원 분야 등을 최근 설문 조사해 분석한 '고양시 청년 느린 학습자 지원계획 수립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5일 밝혔다.

느린 학습자는 평균 지능에 미달하는 지적 능력 탓에 학교 적응이나 대인 관계 형성, 상황 판단 등이 어려운 경계선 지능인으로 전체 인구의 약 13%에 달하지만, 교육이나 취업 등에서 지적장애인 혜택을 받지 못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자의 연령대는 18~22세가 151명(59.9%)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23~26세 50명(19.8%), 27~31세 23명(9.1%), 32~39세 28명(11.1%) 순이었다.

이들은 만 6세부터 정규교육을 제대로 받았다면 이미 고등학교를 마쳤을 성인 나이인데도 약 44%가 늦깎이 공부를 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학력 분포는 초등학교 재학 12명(4.8%), 중학교 재학 4명(1.6%), 고등학교 재학 94명(37.3%), 고교 졸업 98명(38.9%), 2년제 대학교 졸업 25명(9.9%), 4년제 대학교 졸업 19명(7.5%) 등이었다.

이들 가운데 133명(52.5%)이 학생이거나 무직자이고 직장에 다니더라도 약 71%가 월평균 급여가 200만 원 이하로 적었다.

직장인 119명의 월평균 수입을 보면 50만~100만 원 12명, 100만~150만 원 31명, 150만~200만 원 42명, 200만~300만 원 21명, 300만~400만 원 9명, 400만 이상 4명 등이었다.

또한 전체 가구의 81.7%가 가정 형편이 중산층 이하인데도 느린 학습자 교육 지원을 위해 매월 30만~100만 원을 지출했다.

가구별 월평균 소득은 200만 원 미만 3가구, 200만~300만 원 36가구, 300만~400만 원 93가구, 400만~500만 원 74가구였다.

전국 가구당 월평균 소득인 482만 원보다 많은 가정은 고작 46가구(18.3%)에 그쳤다.

고양시 '느린 학습자' 44%, 성년 돼도 초ㆍ중ㆍ고교 재학
장래 걱정이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사회 적응(67.9%), 대인 관계(52.4%), 취업(52.0%), 정신 건강(48.8%), 생활 자립(48.0%), 가족 돌봄(38.9%), 사기 피해 (36.5%), 은둔형 고립(30.6%), 성적 피해(27.4%) 등을 복수로 답했다.

교육 지원 우선 분야는 언어사고력(55.6%), 인지 사고력(50.0%), 기초학습(47.2%), 직업능력(37.3%), 또래 협력(34.1%), 사회 적응(33.7%), 특수체육(17.9%), 성교육(12.7%) 등을 꼽았다.

시의 지원 제도로는 협력 네트워크 구축(40.9%), 부모 자조 모임 활성화(35.7%), 실태조사 및 정책개발 공론장(32.1%), 지원조직 설립(30.6%), 마을 기반 생태환경 조성(23.0%)을 선호했다.

보고서는 "느린 학습자가 심각한 정신적ㆍ육체적 고통을 겪는데도 사실상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면서 "시가 지역거점 대학과 협력해 일자리와 평생교육, 건강복지 상담 등을 지원하되 장기적으로는 중앙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