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유류저장고 한가운데 떨어진 낙탄 미사일 추진체 '아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곳곳 웅덩이·화재 흔적…막사 200∼300m 거리로 2차사고 없어 '천만다행'
이중삼중 철조망으로 둘러싸인 유류 저장고 한가운데에 낙탄 미사일 추진체가 떨어지면서 생긴 웅덩이와 기울어진 철조망, 불에 그을린 잔디, 소나무 등이 남은 현장은 아찔한 사고 당시를 적나라하게 보여줬다.
현무미사일 낙탄 사고가 발생한 현장이 발생 8일 만인 12일 오후 더불어민주당 국방위원회 소속 국회의원과 언론에 공개됐다.
김병주·김영배·송옥주 국회의원과 김우영 강원도당위원장 등은 이날 강릉비행단 내 낙탄 사고 현장을 방문해 발사대와 추진체, 탄두가 발견된 곳 등에 대한 현장 조사를 벌였다.
이들은 지난 7일에도 사고 진상 조사를 위해 강릉비행단을 방문했으나 부대 출입이 허용되지 않아 현장 확인과 조사는 벌이지 못하고 주민 간담회만 했다.
군 당국은 지난 4일 밤 현무-2C 미사일이 발사 직후 비정상 비행 후 발사지점으로부터 전방이 아닌 후방으로 약 1㎞ 날아갔다고 밝혔었다.
낙탄사고으 탄두는 후방 1㎞ 지점에서 발견됐고, 떨어져 나간 추진체는 여기서 400여m 더 후방 지점에 떨어졌다.
이날 현장 공개를 통해 확인된 낙탄 사고 당시 추진체가 떨어진 곳은 아찔하게도 대용량의 기름이 보관된 유류 저장고 한가운데로 드러났다.
낙탄 추진체 낙하 지역인 유류 저장고는 이중삼중의 철조망을 치고 특별경계할 정도의 중요시설로, 이날 언론에도 사진이나 영상 취재는 일체 허용되지 않았다.
추진체가 떨어진 유류 저장고 한가운데는 길이 4∼5m 정도의 웅덩이가 깊게 파였고 추진체 파편이 날아가면서 잔디를 덮은 유류 탱크의 난간 일부도 부순 것으로 나타났다.
떨어져 나간 파편이 굵은 철제 시설물을 치고 나가 맥없이 쓰러졌을 정도이다.
또 다른 파편이 떨어지면서 발생한 화재 흔적이 곳곳에 남아있고, 유류 저장고 침입을 막고자 설치한 경계 철조망에 걸린 파편으로 인해 발생한 화재에 그을린 아름드리 소나무 5∼6그루가 당시의 긴박함을 보여줬다.
추진체가 떨어진 곳과 아주 가까운 곳에는 유류 저장고와 관련한 중요 시설이 곳곳에 있고 폐드럼통 수백 개도 그대로 노출된 상태였다.
특히 불과 30m 정도에는 수송대 차고와 정비고, 130m 인근에는 병사들의 생활관을 비롯해 기상관제 타워 등이 있어 2차 사고로 이어지지 않은 게 천만다행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오홍균 공군 제18전투비행단장은 "유류 저장고는 폭격으로부터 방어시설을 갖췄고 화재가 발생해도 원격이나 수동으로 소화가 가능한 시설"이라고 말했다.
낙탄하면서 탄두가 떨어진 곳은 군 골프장 페어웨이 한구석이었다.
이로 인해 잘 가꿔진 잔디밭에는 길이 15∼16m, 폭이 1.5∼2m, 깊이 1m 이상의 긴 웅덩이가 생겼다.
이곳에서 300m 이내에는 군 교회와 실내체육시설, 군 막사, 정비고, 활주로 등이 자리 잡고 있어 자칫 대형 사고로 이어질 뻔한 아찔한 상황이었다.
김병주 의원은 "추진체와 탄두가 떨어진 곳에서 불과 200∼300m 내에 생활관 등이 있어 병사들은 물론 강릉시민들이 위험이 노출돼 있었고 당시 비가 와 유류 저장시설에 불이 안 붙은 게 그나마 천만다행이었다"며 "이런 문제 때문에 조직적으로 은폐하고 축소하려 했던 것이며, 끝까지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4일 밤 군 당국이 북한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 도발 대응 조치로 발사했던 현무-2C 탄도미사일이 비정상적으로 비행 후 강릉비행단 기지 내로 낙탄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낙탄으로 말미암아 큰 불길과 화염, 섬광, 폭발음 등이 발생해 주민들이 밤새 불안에 떨었다.
/연합뉴스
현무미사일 낙탄 사고가 발생한 현장이 발생 8일 만인 12일 오후 더불어민주당 국방위원회 소속 국회의원과 언론에 공개됐다.
김병주·김영배·송옥주 국회의원과 김우영 강원도당위원장 등은 이날 강릉비행단 내 낙탄 사고 현장을 방문해 발사대와 추진체, 탄두가 발견된 곳 등에 대한 현장 조사를 벌였다.
이들은 지난 7일에도 사고 진상 조사를 위해 강릉비행단을 방문했으나 부대 출입이 허용되지 않아 현장 확인과 조사는 벌이지 못하고 주민 간담회만 했다.
군 당국은 지난 4일 밤 현무-2C 미사일이 발사 직후 비정상 비행 후 발사지점으로부터 전방이 아닌 후방으로 약 1㎞ 날아갔다고 밝혔었다.
낙탄사고으 탄두는 후방 1㎞ 지점에서 발견됐고, 떨어져 나간 추진체는 여기서 400여m 더 후방 지점에 떨어졌다.
이날 현장 공개를 통해 확인된 낙탄 사고 당시 추진체가 떨어진 곳은 아찔하게도 대용량의 기름이 보관된 유류 저장고 한가운데로 드러났다.
낙탄 추진체 낙하 지역인 유류 저장고는 이중삼중의 철조망을 치고 특별경계할 정도의 중요시설로, 이날 언론에도 사진이나 영상 취재는 일체 허용되지 않았다.
추진체가 떨어진 유류 저장고 한가운데는 길이 4∼5m 정도의 웅덩이가 깊게 파였고 추진체 파편이 날아가면서 잔디를 덮은 유류 탱크의 난간 일부도 부순 것으로 나타났다.
떨어져 나간 파편이 굵은 철제 시설물을 치고 나가 맥없이 쓰러졌을 정도이다.
또 다른 파편이 떨어지면서 발생한 화재 흔적이 곳곳에 남아있고, 유류 저장고 침입을 막고자 설치한 경계 철조망에 걸린 파편으로 인해 발생한 화재에 그을린 아름드리 소나무 5∼6그루가 당시의 긴박함을 보여줬다.
추진체가 떨어진 곳과 아주 가까운 곳에는 유류 저장고와 관련한 중요 시설이 곳곳에 있고 폐드럼통 수백 개도 그대로 노출된 상태였다.
특히 불과 30m 정도에는 수송대 차고와 정비고, 130m 인근에는 병사들의 생활관을 비롯해 기상관제 타워 등이 있어 2차 사고로 이어지지 않은 게 천만다행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오홍균 공군 제18전투비행단장은 "유류 저장고는 폭격으로부터 방어시설을 갖췄고 화재가 발생해도 원격이나 수동으로 소화가 가능한 시설"이라고 말했다.
낙탄하면서 탄두가 떨어진 곳은 군 골프장 페어웨이 한구석이었다.
이로 인해 잘 가꿔진 잔디밭에는 길이 15∼16m, 폭이 1.5∼2m, 깊이 1m 이상의 긴 웅덩이가 생겼다.
이곳에서 300m 이내에는 군 교회와 실내체육시설, 군 막사, 정비고, 활주로 등이 자리 잡고 있어 자칫 대형 사고로 이어질 뻔한 아찔한 상황이었다.
김병주 의원은 "추진체와 탄두가 떨어진 곳에서 불과 200∼300m 내에 생활관 등이 있어 병사들은 물론 강릉시민들이 위험이 노출돼 있었고 당시 비가 와 유류 저장시설에 불이 안 붙은 게 그나마 천만다행이었다"며 "이런 문제 때문에 조직적으로 은폐하고 축소하려 했던 것이며, 끝까지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4일 밤 군 당국이 북한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 도발 대응 조치로 발사했던 현무-2C 탄도미사일이 비정상적으로 비행 후 강릉비행단 기지 내로 낙탄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낙탄으로 말미암아 큰 불길과 화염, 섬광, 폭발음 등이 발생해 주민들이 밤새 불안에 떨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