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진보단체 집회…'생태교육·노동교육 추가' 등 주장

교육부는 8일 충북 청주에 위치한 한국교원대학교에서 2024년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될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시안에 대한 공청회를 열었다.

새 교육과정 총론 공청회…정보과목 수업시수 확대 명시 검토(종합)
교육부는 앞서 '국민참여소통채널'을 운영해 교육과정에 대한 국민 의견을 접수했다.

교육과정 정책연구진은 이 가운데 총론에 반영할 부분이 있는지 검토했다.

'생태교육'과 '노동교육'을 교육목표에 제시해 달라는 요구가 있었으나 연구진은 '교육의 공통적이고 일반적인 방향과 기준'을 제시하는 총론의 성격을 고려해 기존 시안을 유지하기로 했다.

과학고의 설립 취지를 고려해 통합과학 과목을 축소 편성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요구 역시 타 계열 특목고와의 형평성, 선행학습 우려를 감안해 반영하지 않기로 했다.

다만, 정보과목 수업시수 기준을 명시해달라는 요구와 관련해서는 타 교과와의 형평성을 고려해 기존안을 유지하되 공청회와 2차 국민의견 수렴, 전문가 협의를 통해 보완해 나가기로 했다.

앞서 정부는 현재 34시간인 중학교 정보과목 수업시수를 68시간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하지만, 교육과정 시안은 학교가 자율시간 등을 활용해 '68시간 이상 편성·운영할 수 있다'라고 정하고 있어 사실상 수업시수가 제대로 확대되지 않고 사교육에 의존하는 학생이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다.

'국악 홀대론'으로 논란이 된 음악 교과의 경우 이견이 있는 부분을 병기한 시안이 이달 13일까지 '국민참여소통채널'에 공개된다.

한편, 이날 공청회장 앞에서는 보수·진보 성향의 시민단체가 각각 집회를 열어 교육과정 시안을 수정·보완하라고 요구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기자회견에서 "미래를 살아갈 학생들이 배울 교육과정이 정권의 입맛에 맞게 수정되어선 안된다"며 "생태전환교육과 노동교육은 반드시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명시하고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평가 활성화 내용은 삭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청회장에서는 각기 다른 방향의 수정·보완을 요구하는 참석자들이 종합토론 도중 의견을 내며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지만, 참석자들 사이에 물리적인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

교육부는 앞으로 협의체를 통해 쟁점이 되는 사항을 조절하고 행정예고, 국가교육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올해 12월 새 교육과정을 확정·고시한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공청회를 통해 국민과 함께하는 현장 기반 교육과정의 취지를 충분히 살릴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