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모든 학생이 같은 '진도'를 나가야 하는 경직된 교육과정의 한계를 지적하며 고교학점제 정착 필요성을 언급했다.
윤석열 정부가 고교학점제 추진·보완을 국정과제로 세운 만큼 이 후보자가 청문회를 통과할 경우 고교학점제 시행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2일 교육계에 따르면 이 후보자는 지난해 정제영 이화여대 교수, 정영식 전주교대 교수와 함께 미래사회에 걸맞은 교육제도에 대한 의견을 담은 'AI 교육혁명'을 펴냈다.
그는 이 책에서 학생 개인의 학업성취도와 관계없이 똑같은 교육과정과 6-3-3 학제를 거쳐 졸업하는 한국 교육제도의 경직성을 지적했다.
이 후보자는 "학습을 이해한 정도와는 관계없이 그저 나이에 따라 학교에 다니는 상황"이라며 "더 빠르게 가는 학생과 더디 가는 학생 모두 소외될 수밖에 없다"고 언급했다.
교사 역시 '진도 나가기'에 대한 부담 때문에 부진한 학생을 챙기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최근 심화한 '일반고의 위기'는 이처럼 경직적이고 표준화된 교육과정 때문에 발생한다는 것이다.
그는 "학생들이 입시 위주의 경쟁적인 교육에서 벗어나 각자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유연한 교육체제를 수립해야 할 때"라며 "교육 장벽을 허물고 행복한 성장을 도우려면 고교학점제가 정착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정부는 고교학점제를 2025학년도에 전면 도입하기로 하고 이를 단계적으로 추진해 왔다.
마이스터고·특성화고에는 이미 도입됐고, 올해는 일반계고의 84%가 학점제 연구·선도학교로 운영중이다.
하지만 교원의 업무 부담이 커지고 소규모 학교에서는 다양한 과목을 개설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는 등 여건이 갖춰지지 않았다는 우려가 컸다.
정권이 바뀌면서 교육계에서는 고교학점제가 중단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지만, 윤석열 정부는 문제점을 보완해 고교학점제를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그런가 하면 이 후보자는 공저에서 인공지능(AI) 보조교사 활용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학생 개개인의 이해도와 성취도를 진단해 맞춤형 교육을 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교사는 지식의 전달자가 아닌 '상담가'와 '조언자'로서의 역할을 하고, 학생들이 더 적절한 목표를 가질 수 있도록 해 심화 학습을 도울 수 있다는 게 그의 의견이다.
그는 "기존의 고부담 시험(대학수학능력시험)에 의존한 입시는 결국 인공지능이 제공하는 지속적 맞춤평가(하이테크)와 교사가 인간적 연결을 통해 학생의 사회적 역량·인지 역량을 평가하는 것(하이터치)으로 대체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