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로 냉각용 비상전력 사실상 단절된 채 포격 지속
IAEA 총장 "지속불가 상황 점점 위태로워져 용납불가"
IAEA "우크라, 사고 위험에 자포리자 원전 폐쇄 검토"
우크라이나가 최근 포격 때문에 사고 위험이 커진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의 폐쇄를 고려하고 있다고 1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유엔 산하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우크라이나가 자포리자 원전의 가동이 현실적으로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은 원전단지에 있는 원자로 6기 중 5기가 가동이 중단됐으며 이는 원전에 대한 전력 공급원이 단 1개밖에 남지 않는 위험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 원자로는 자체 생산한 전력을 원자로 냉각을 위한 안전 체계에 사용한다.

원전에 전력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원자로가 과열되면 최악의 경우 방사성 물질이 누출되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원전이 스스로 전력을 공급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근처 다른 발전소에서 전력을 끌어다 쓰기도 한다.

그러나 근처 석탄화력발전소에서 원전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예비 전력 공급선마저 지난 8일 포격 중에 망가지고 말았다.

손실된 이 예비 전력 공급선을 수리할지 여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그로시 총장은 계속되는 포격 때문에 외부 예비 전력 공급망을 유지할 수 없는 상황이라서 원자로 수리 가능성이 작다고 밝혔다.

자포리자 원전 운영사인 우크라이나 원전회사 에네르고아톰은 비상 수단으로 디젤 발전기를 돌릴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디젤 발전기도 약 10일간 사용할 수 있는 연료밖에 남지 않은 상황이다.

그뿐만 아니라 원전에서 일하는 필수인력도 자택에 전기가 끊어진 데다가 포격 위험까지 겪어 속속 원전을 이탈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그로시 총장은 "지속불가능한 상황이 점점 더 위태로워진다"며 "용납할 수 없고 버틸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자포리자 원전 근처에서는 포격이 계속 되풀이되고 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서로 상대 소행이라고 주장한다.

전력공급이 끊어지면 원자로 중심부의 핵연료봉 다발이 녹아 방사성 물질이 새어 나올 수 있다.

이는 우크라이나뿐 아니라 유럽 내 광범위한 영역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중대 사고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인 올해 3월 자포리자 원전을 점령했으나 원전 운영은 우크라이나 직원들이 맡고 있다.

원전에는 이달 초 IAEA 사찰에 참여한 전문가 2명이 남아 현장을 주시하며 러시아군, 우크라이나 직원, IAEA 사무국과 소통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