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 관련 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운전 관련 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80세 이상 고령 운전자들의 교통사고 위험도가 가파르게 높아진다는 분석이 나왔다.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는 8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고령 운전자 연령대별 교통안전대책 합리화 방안'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2021년 경찰청 교통사고 자료와 보험사 질병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해당 기간 64세 이하 비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 발생 건수는 9.7% 감소(18만9622건→17만1289건)한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 발생 건수는 19.2%(2만6천713건→3만1841건) 증가했다.

교통사고 위험도는 60~64세(15.19), 65~69세(16.03)를 나타냈고, 70~74세(16.94)부터 사고 위험도가 명확하게 차이 나기 시작했다. 75~79세 18.81, 80~84세 23.18, 85~89세 26.47로 80세 이상 연령층에서 사고 위험도가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소는 이에 따라 연령대별 사고 위험도를 고려해 운전면허 갱신과 적성검사 주기를 합리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연구소는 "운전면허 자진반납 시 지원 혜택을 연령대별 맞춤형으로 제공해 고위험 고령 운전자의 면허 자진반납 활성화를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