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비상상황' 동의에도 비대위 각론 이견…위원장엔 중진 거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비대위 의결' 전국위 입장도 변수…이준석계는 여전히 비대위 반발
국민의힘이 1일 소속 의원들의 총의를 모으면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에 첫걸음을 뗐다.
윤석열 대통령이 이날부터 휴가에 돌입해 정국 구상을 이어가는 가운데 당도 조만간 가시적인 쇄신 성과를 내기 위해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그러나 비대위의 성격과 운영 기간, 조기 전당대회 개최 여부 등 각론으로 들어가면 구성원 간의 입장차가 뚜렷한 만큼 비대위 출범까지는 험로가 예상된다.
국민의힘은 이날 오후 의원총회에서 비대위 체제를 사실상 추인했다.
당원권 정지 징계를 받은 이준석 대표의 '사고' 상황과 최고위원 연쇄 사퇴로 최고위가 정상 작동이 안 되는 '비상상황'이라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면서다.
당헌당규상 비대위 구성의 전제조건인 '비상상황'을 인정함으로써 일단 비대위가 출범할 길을 열어둔 것이다.
이날 의총에서 비대위 출범을 위한 최소한의 합의만 했을 뿐 각론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지지 않은 만큼 논란의 불씨는 여전히 살아 있다.
우선 비대위 출범 이후 조기 전당대회 개최에 대한 생각이 저마다 다르다.
당내 친윤(친윤석열) 그룹에서는 비대위 전환과 동시에 9월 조기 전대 개최 쪽에 무게를 두는 분위기다.
김미애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비대위 체제로 가더라도 이는 궁여지책일 뿐이고, 신속히 전당대회를 통해 새로운 지도부를 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조해진 의원은 의총 뒤 기자들과 만나 "이 대표가 (당원권 정지가 종료되는) 1월 9일 본인이 원하면 돌아올 수 있는 것을 전제로 해서 비대위를 해야 한다"며 조기 전대 개최에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
하태경 의원도 MBC 라디오에서 "직무대행 비대위로 성격을 규정하고 이 대표의 당원권 정지 6개월이 끝나는 시점에 비대위를 종결하는 것으로 하면 된다"고 말했다.
비대위 체제 자체에 대한 반발도 이준석계를 중심으로 여전히 표출되고 있다.
김용태 최고위원은 의원총회 뒤 페이스북에서 "'비상'이라는 수사로 국민과 당원이 부여한 정당성을 박탈하겠다는 생각은 민주주의의 역행"이라며 비대위 반대 입장을 재차 밝혔다.
이런 가운데 비대위원장 후보군으로는 정우택·정진석·조경태·주호영 등 당내 5선·중진 그룹이 거론되고 있다.
원외 인사 가운데서는 김병준 전 자유한국당 비대위원장 등 과거 위기 상황에서 국민의힘 전신 정당들을 이끌었던 인사들의 이름이 하마평에 오르내린다.
비대위원장과 친윤 그룹 간의 관계 설정을 두고도 온도 차가 감지된다.
하 의원은 비대위원장의 요건에 대해 "대통령에 종속되면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친윤 그룹이 초선 연판장 등으로 비대위 체제 전환을 주도했다는 관측이 나오는 상황에서 비대위 구성에 친윤 그룹의 영향력이 어떻게든 반영될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비대위 전환을 위한 마지막 길목인 전국위 의결도 주요 변수다.
전국위 의장인 서병수 의원은 이날 오전 통화에서 "비대위로 전환하려면 합당한 명분과 당헌당규상 근거가 있어야 하는데 아무리 찾아봐도 그런 것이 없다"며 비대위 체제에 우려 입장을 표명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1일 소속 의원들의 총의를 모으면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에 첫걸음을 뗐다.
윤석열 대통령이 이날부터 휴가에 돌입해 정국 구상을 이어가는 가운데 당도 조만간 가시적인 쇄신 성과를 내기 위해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그러나 비대위의 성격과 운영 기간, 조기 전당대회 개최 여부 등 각론으로 들어가면 구성원 간의 입장차가 뚜렷한 만큼 비대위 출범까지는 험로가 예상된다.
국민의힘은 이날 오후 의원총회에서 비대위 체제를 사실상 추인했다.
당원권 정지 징계를 받은 이준석 대표의 '사고' 상황과 최고위원 연쇄 사퇴로 최고위가 정상 작동이 안 되는 '비상상황'이라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면서다.
당헌당규상 비대위 구성의 전제조건인 '비상상황'을 인정함으로써 일단 비대위가 출범할 길을 열어둔 것이다.
이날 의총에서 비대위 출범을 위한 최소한의 합의만 했을 뿐 각론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지지 않은 만큼 논란의 불씨는 여전히 살아 있다.
우선 비대위 출범 이후 조기 전당대회 개최에 대한 생각이 저마다 다르다.
당내 친윤(친윤석열) 그룹에서는 비대위 전환과 동시에 9월 조기 전대 개최 쪽에 무게를 두는 분위기다.
김미애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비대위 체제로 가더라도 이는 궁여지책일 뿐이고, 신속히 전당대회를 통해 새로운 지도부를 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조해진 의원은 의총 뒤 기자들과 만나 "이 대표가 (당원권 정지가 종료되는) 1월 9일 본인이 원하면 돌아올 수 있는 것을 전제로 해서 비대위를 해야 한다"며 조기 전대 개최에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
하태경 의원도 MBC 라디오에서 "직무대행 비대위로 성격을 규정하고 이 대표의 당원권 정지 6개월이 끝나는 시점에 비대위를 종결하는 것으로 하면 된다"고 말했다.
비대위 체제 자체에 대한 반발도 이준석계를 중심으로 여전히 표출되고 있다.
김용태 최고위원은 의원총회 뒤 페이스북에서 "'비상'이라는 수사로 국민과 당원이 부여한 정당성을 박탈하겠다는 생각은 민주주의의 역행"이라며 비대위 반대 입장을 재차 밝혔다.
이런 가운데 비대위원장 후보군으로는 정우택·정진석·조경태·주호영 등 당내 5선·중진 그룹이 거론되고 있다.
원외 인사 가운데서는 김병준 전 자유한국당 비대위원장 등 과거 위기 상황에서 국민의힘 전신 정당들을 이끌었던 인사들의 이름이 하마평에 오르내린다.
비대위원장과 친윤 그룹 간의 관계 설정을 두고도 온도 차가 감지된다.
하 의원은 비대위원장의 요건에 대해 "대통령에 종속되면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친윤 그룹이 초선 연판장 등으로 비대위 체제 전환을 주도했다는 관측이 나오는 상황에서 비대위 구성에 친윤 그룹의 영향력이 어떻게든 반영될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비대위 전환을 위한 마지막 길목인 전국위 의결도 주요 변수다.
전국위 의장인 서병수 의원은 이날 오전 통화에서 "비대위로 전환하려면 합당한 명분과 당헌당규상 근거가 있어야 하는데 아무리 찾아봐도 그런 것이 없다"며 비대위 체제에 우려 입장을 표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