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기준금리의 인상기조를 이어나갈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업무보고에서 "대내외 경제여건의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물가 상승률이 물가 안정 목표 수준을 크게 웃도는 엄중한 상황에서 무거운 책임감을 가지고 한국은행의 업무현황을 보고드리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세계 경제는 인플레이션 압력 확대에 따른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금리 인상 가속화, 우크라이나 사태의 장기화 등으로 성장세가 약화되는 모습"이라며 "국내 경기는 대외 여건 악화에도 상반기까지는 아직 양호한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앞으로는 하방위험이 우세한 가운데 불확실성도 커진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또 "물가 상황을 보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6%대로 높아졌으며 근원 및 기대인플레이션도 크게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이 총재는 "이러한 대내외 경제여건 변화에 대응하여 한국은행은 지난해 8월부터 기준금리를 선제적으로 인상하면서 금융 완화 정도를 축소해왔으며. 지난 7월에는 사상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50BP 인상했다"고 했다. 이어 "한국은행은 앞으로도 당분간 높은 물가 오름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만큼 기준금리의 인상기조를 이어나갈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며 "현 상황에서 물가대응에 실기해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물가와 임금 간 상호작용이 강화되어 높은 인플레가 고착된다면 향후 보다 큰 폭의 금리 인상이 불가피해지고 경제 전반과 취약층의 피해는 더욱 커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 총재는 "추가적인 정책 대응의 시기와 폭은 제반 경제상황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결정하겠지만 현재로는 물가와 성장 흐름이 7월 저희들이 했던 기존의 전망경로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면 기준금리를 25BP씩 점진적으로 인상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물론 한국은행은 인플레이션 및 금리 상승으로 취약계층의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다는 점을 잘 알고 있으며 정부와 함께 이들에 대한 선별적 지원방안을 계속 강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또 "이를 위해 코로나19 대출프로그램의 금리를 0.25%로 유지하는 한편 주택금융공사 출자 등을 통해 가계부채의 구조개선도 지원해나갈 예정"이라고 했다.

임도원 기자 van769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