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만·미국이 선점한 최첨단 대신 구형 중저가 칩으로 '승부수'

중국 반도체 산업의 신규 공장 건설 규모가 세계 최대인 것으로 나타나 미국의 강력한 제재를 뚫고 중국의 반도체 자립 정책이 성공할지 관심이 쏠린다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은 중국을 배제한 한미일·대만 4개국 반도체 공급망 동맹인 '칩4'를 추진하는 한편 중국 견제용 반도체법 통과에 속도를 내왔고, 중국도 이에 질세라 반도체 자립 정책에 몰두해왔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 집계에 따르면 중국은 2021∼2024년 4년 동안 주요 반도체 생산공장(팹) 31곳을 건설할 계획이다.

이는 같은 기간 대만(19곳), 미국(12곳)을 넘어서 세계 최대 규모다.

SEMI는 세계적으로 반도체 공급 부족이 이어지는 가운데 중국이 반도체 생산시설을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반도체 신규공장 건설 세계 최대…'자립굴기' 성공할까
눈여겨볼 대목은 중국이 7나노미터(㎚·10억분의 1m) 미만의 최첨단 공정 기술이 아니라 구형 중저가형 반도체 생산 역량 확장에 집중한다는 점이다.

첨단 반도체 칩 제조 기술은 한국, 대만, 미국 등에 크게 뒤진 만큼 중하위 기술 역량을 키워 관련 수요를 장악하겠다는 전략으로 볼 수 있다.

자동차 전장 계통을 제어하는 핵심 반도체인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 자동차·스마트폰·기타 전자제품에 널리 쓰이는 전력 공급 장치 반도체 등이 중국이 노리는 품목이다.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의 임원 후이허는 "대량의 전자제품에는 고급 칩이 필요하지 않다"고 짚었다.

중국의 이런 태도는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기업인 대만 TSMC 등 세계적 반도체 기업들이 최첨단 공정에 집중하면서 중저가형 반도체 생산에 많이 투자하지 않는 것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TSMC는 최근 7나노 이하 공정의 최첨단 반도체 제품이 2분기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면서 앞으로도 첨단 반도체 판매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이 공백을 파고들었다.

정보기술(IT)산업 컨설팅업체 IBS는 구식인 28나노 공정 반도체 수요가 2030년까지 281억달러(약 36조9천억원)로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2025년까지 28나노 칩의 40%가 중국에서 생산될 것으로 예상했다.

2021년 기준 세계 28나노 반도체 생산량에서 중국의 점유율은 15%로 집계됐다.

세계적 컨설팅 회사 베인앤드컴퍼니의 반도체 애널리스트인 피터 핸버리는 현재 미국과 동맹국이 구형 반도체 기술에 충분히 투자하고 있는지 의문이라며, 이 추세라면 중국이 이 분야 공급망을 더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 반도체 신규공장 건설 세계 최대…'자립굴기' 성공할까
상원과 하원의 이견 속에서 표류해오던 미국의 반도체 육성법은 520억달러(약 68조2천억원) 지원 부분만 별도로 떼어 입법하기로 가닥을 잡고 속도를 내고 있다.

이 법이 통과된다면 미국이 자국의 최첨단 반도체 산업을 육성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지만, 구형 칩 생산 능력을 확장하는 중국을 견제할 뾰족한 수는 없어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이후 미중 간 긴장이 고조되면서 중국은 반도체 칩에 대한 대외 의존도를 줄이는데 전력을 기울여왔다고 WSJ은 짚었다.

IBS에 따르면 중국은 2017년에는 자국에 필요한 반도체의 13%를 자체 생산하는 데 그쳤으나, 올해는 자체 생산 비중이 26%로 커졌다.

중국은 2025년에는 자체 생산 반도체 비중을 3분의 2 이상으로 키우는 것을 목표로 잡고 있다.

중국은 중앙정부 차원에서 반도체 프로젝트에 500억달러(약 65조6천억원) 이상을 투입하고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지방정부도 유사한 반도체 투자 기금을 마련하고 있다.

중국은 반도체 기업에 각종 세제 혜택도 주고 있다.

중국 핵심 반도체 기업인 SMIC(中芯國際·중신궈지)는 지방정부와 함께 상하이에 28나노 반도체 생산공장을 짓는 데 89억달러(약 11조7천억원)를 투자하고 있다.

SMIC는 반도체 생산장비 구매에도 돈을 아끼지 않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