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는 떨어지는데 증권사 투자의견은 '매수' 일색
올해 초부터 국내 증시가 하락세를 거듭하며 약세장을 이어왔지만, 증권사들의 국내 기업에 대한 투자의견은 '매수' 일색인 것으로 나타났다.


ADVERTISEMENT


18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이달 14일 기준 올해 기업 분석 보고서를 발행한 국내 증권사 33곳 중 31곳은 투자의견을 '매도'(비중 축소 포함)로 제시한 보고서가 한 건도 없었다.

매도 의견을 제시한 증권사는 미래에셋증권(2건)과 DB금융투자(1건) 뿐이었다.

ADVERTISEMENT

이마저도 각 사의 전체 기업분석 보고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1.03%, 0.44%로 극히 적었다.

이 기간 발행된 기업 분석 보고서는 총 7천356개로, 매도 의견을 나타낸 보고서 비중은 단 0.04%에 그친 것이다.

반면 매수 의견은 94.34%(6천940건)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중립 의견도 5.61%(413건)에 그쳤다.

ADVERTISEMENT

증권사별로 보면 리딩투자증권(9건)과 밸류파인더(6건), 부국증권(5건), 한양증권(3건) 등 4곳의 보고서는 100% 매수 의견이었다.

이들 4곳을 제외하면 하이투자증권(99.58%), 교보증권(98.72%), 키움증권(98.67%), 흥국증권(98.62%), 하나증권(98.49%), 유진투자증권(98.32%) 순으로 매수 의견 비율이 높았다.

그 외에도 대부분 증권사가 90% 이상의 매수 의견 비중을 보여 사실상 큰 차이가 없었다.

ADVERTISEMENT

최근 국내 기업에 대한 증권사의 목표주가 하향 조정이 쏟아지는 상황에서도 투자 의견은 매수에서 제자리걸음을 하는 것이다.

주요 원인 중 하나로는 증권사의 영업 구조가 꼽힌다.

증권사의 브로커리지(주식 위탁매매) 수수료는 개인 투자자들의 손익 여부가 아닌 주식 거래 규모와 연동되므로, 주식 거래가 발생하기만 하면 이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분석 대상이 되는 기업 대부분이 증권사의 고객이라는 점도 자유로운 투자의견 제시에 걸림돌로 작용한다.

증권사가 각 기업의 기업공개(IPO), 투자은행(IB), 신용공여 등을 맡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특정 기업에 부정적인 평가를 했다가 소위 '미운털'이 박혀 영업에 지장이 생길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증권사의 '중립' 의견을 사실상 '매도' 의견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관행으로 자리 잡았다.



(자료사진=연합뉴스)


이영호기자 hoya@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