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대표 출사표…"계파 모두 해체해야, 처럼회도 결단 필요"
"경제위기 겹쳐 '거리의 정치' 재연될 우려…리드하는 야당 돼야"
김민석 "국정지휘부 안보여…불행한 탄핵 역사 되풀이 될수도"(종합)
더불어민주당 차기 당 대표 경선에 출마를 선언한 김민석 의원은 14일 당내 계파문제와 관련해 "계파로 보일 수 있는 모임들은 모두 해체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날 연합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지금의 계파는 공통의 가치를 공유한다기보다는, 정치 지도자들과 일시적이고 우연적인 사적 인연관계에 기반해 만들어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의원은 특히 당내 강경파 초선 의원모임인 '처럼회'에 대해서도 "정책모임으로 출발했지만 사실상 매번 당내 선거가 있을 때마다 영향력을 행사하는 정치그룹이 돼 버렸다"며 "당 전체를 위해 해체 결단을 해주는 게 좋겠다"고 당부했다.

그는 "이외에도 과거 학생운동과 사회운동 등으로 얽혀있는 그룹들이 있는데, 이번 전대를 기회 삼아 모두 해체하고 다시 시작하는 게 좋지 않겠나"라고 했다.

김 의원은 계파를 없애기 위해서는 공천제도의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현재의 공천은 말 그대로 조직력 싸움, 세력 싸움에 불과하다.

그러다 보니 계파에 기대게 되는 것"이라며 "경선 후보자들 간 활발한 토론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

다음 총선부터는 토론을 활성화하고 당원들이 이를 보고서 후보를 결정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 지난 대선과 지방선거 패배 이후 당내에서 제대로 된 평가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혁신 동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 대선이 당에서 '백서'를 만들지 않은 첫 대선이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며 "당 차원에서 제대로 평가가 되지 않으면서 결국 전대 과정에서 책임론 얘기가 나올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 과거 문제로 트집 잡기를 하는 것처럼 비칠 우려도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김 의원은 "이재명 상임고문이 출마선언을 늦추면서 대선평가의 기회가 사라지는 면도 있다.

너무 아쉬운 부분"이라고 했다.

김민석 "국정지휘부 안보여…불행한 탄핵 역사 되풀이 될수도"(종합)
한편 김 의원은 윤석열 정부가 인사 논란과 '비선 보좌' 논란 등에 휩싸여 임기 초 국정동력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국정을 이끌어가는 지휘부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지금 권력 핵심부에 있는 사람들은 하루하루가 공포스러울 것"이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김 의원은 "지금 권력의 중심에 대통령은 보이지 않고, 실제 권력은 검찰과 부인(김건희 여사)가 가진 듯한 형국이다.

결국 검찰이 자신들에게 익숙한 사정정국을 조성해 국면을 끌고 가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주요 의제에 대해 정치적 타협을 끌어내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지면서 국민들이 윤석열 정부에 대해 '심리적 탄핵 상태'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정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경제위기가 겹치면서 2008년 '명박산성' 때와 같은 '거리의 정치'가 다시 벌어질 수 있다"고 했다.

김 의원은 "이런 때일수록 민주당은 '견제하는 야당'이 아닌 의제를 끌고 가는 '리드하는 야당'이 돼야 한다"며 "사정정국 조성처럼 민주주의를 역행하는 시도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쳐내고, 대신 민생·경제 분야에서 끊임없이 대안을 제시하고 해법을 내놓는 능력있는 야당의 모습을 갖춰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 의원은 이날 오후 자신의 페이스북에서도 윤 대통령을 겨냥해 "대통령의 통치가 법과 원칙을 벗어나면 국정 문란으로 이어져 결국 국민의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며 "이명박 박근혜 전 대통령이 그랬다"고 경고했다.

이어 "박근혜 대통령의 공적 시스템 일탈은 탄핵을 부른 씨앗이었다"라며 "윤석열 대통령은 공적 시스템으로 돌아와야 한다.

만약 이대로라면 대한민국 역사에 또 한 번 불행한 탄핵의 역사가 되풀이될지도 모른다"고 덧붙였다.

3선의 김 의원은 서울대 총학생회장을 지낸 운동권 출신으로, 당내에서는 상대적으로 계파색이 옅은 전략통으로 분류된다.

1990년 고(故) 김대중(DJ) 전 대통령에 의해 발탁돼 정계에 입문한 뒤 1996년 15대 총선에서 32세 나이로 영등포을에서 당선되며 국회에 입성했다.

2002년 새천년민주당의 서울시장 후보로 선출되며 '30대 기수론' 주자로 큰 주목을 받았지만, 본선에서 당시 한나라당 후보였던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 패했다.

정몽준 의원의 '국민통합21'로 이적해 '철새논란'에 휩싸이고, 2008년 말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구속기소 되는 어려움도 겪었다.

2016년 원외 민주당을 창당했고 민주당과 통합하면서 친정으로 복귀했다.

21대 총선에서 옛 지역구 서울 영등포을에서 당선돼 3선 의원으로 국회에 재입성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