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왼쪽 첫 번째) 등 친이재명계 의원들이 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비상대책위원회의 전당대회 룰 결정에 반발하는 내용의 성명서를 읽고 있다. 왼쪽부터 정성호, 정청래, 박주민, 김병욱, 양이원영, 김남국, 김용민, 장경태 의원.  뉴스1
정성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왼쪽 첫 번째) 등 친이재명계 의원들이 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비상대책위원회의 전당대회 룰 결정에 반발하는 내용의 성명서를 읽고 있다. 왼쪽부터 정성호, 정청래, 박주민, 김병욱, 양이원영, 김남국, 김용민, 장경태 의원. 뉴스1
더불어민주당이 당대표 등 차기 지도부를 뽑는 8월 전당대회 룰을 두고 내홍에 휩싸였다. 비상대책위원회가 예비경선(컷오프)에 국민 여론조사를 배제하고 중앙위원 투표만 반영하기로 결정하자 친명(친이재명)계와 ‘처럼회’ 등을 중심으로 반발이 터져 나온 것이다. 당대표 출마가 무산된 박지현 전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은 “이미 피선거권이 있다”고 주장해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비대위 결정에 전준위·친명 반발

안규백 민주당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 위원장은 5일 자신의 SNS에 “전준위원장으로서 제 역할도 의미를 잃은 만큼 위원장직을 내려놓겠다”고 사퇴 의사를 밝혔다.

안 위원장은 “전준위 논의가 형해화되는 상황에서 더는 생산적인 논의를 이끌어가는 것은 어렵다”고 설명했다. 비대위가 전준위 결정사항을 뒤집은 것에 대한 불만을 드러낸 것이다.

전날 민주당 비대위는 당대표·최고위원 예비경선 투표 비중을 ‘중앙위원 100%’로 결정했다. 전준위가 같은 날 오전 예비경선에 ‘국민 여론조사 30%’를 반영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오후에 비대위가 결론을 바꾼 것이다.

비대위는 최고위원 투표자에게 주어지는 ‘1인 2표’ 중 1표는 자신이 속한 권역의 후보에게만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권역별 득표제’ 방안도 추가했다. 이 역시 당초 전준위 안에 없던 것이다.

비대위 결정에 친명계는 강하게 반발했다. 친문(친문재인)계는 중앙위원과 대의원, 친명계는 권리당원과 일반 국민 투표에서 우세할 것이란 예측이 지배적이다.

친명계 좌장인 정성호 의원 등 38명은 기자회견을 열고 “독단적으로 졸속 의결한 비대위의 결정을 거두고 모든 당원이 참여하는 전당원 투표를 하자”고 요구했다. 김남국 의원은 “이런 전대 룰이라면 이재명도 얼마든지 컷오프될 수 있다”고 했다. 강성 지지층 사이에선 권역별 득표제를 두고 “처럼회 등 수도권 강경파 초선들의 지도부 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박지현 “나에겐 피선거권이 있다”

당내 반발에 우상호 비대위원장은 “전준위가 비대위 의견을 반영하지 않고 결정한 면도 있다”며 “다른 견해가 있을 수 있는 것이지 비대위가 전준위를 무시한 것은 아니다”고 일축했다.

예비경선에 중앙위원 100%를 유지하기로 한 것에 대해 우 위원장은 “후보자가 10명이 넘는 다수인 경우 일반 국민이 판단할 수 있겠느냐, 여론조사로 변별력 확보도 어렵다는 우려에 따른 것”이라고 했다. 권역별 득표제에 대해선 “지난 10년간 호남·영남·충청권 인사가 지도부에 입성하지 못해 수도권 정당으로 전락했다는 지적에 도입했다”고 덧붙였다.

비대위의 거부로 당대표 출마가 무산된 박지현 전 위원장을 둘러싼 잡음도 계속되고 있다. 박 전 위원장은 5일 SNS에 “나는 피선거권을 부여받아 당헌에 의해 선출된 비대위원장이었고, 그간 당이 내게 준 피선거권을 박탈한 적이 없다”며 출마 강행을 시사했다. 지난 4월 당 대의기구인 중앙위원회가 투표를 통해 84.4% 찬성으로 임시 당대표인 비대위원장으로 자신을 선출한 만큼 8월 전당대회 출마도 가능하다는 논리다.

박 전 위원장은 비대위의 거부 결정엔 이재명 의원의 입김이 작용했다고 의심했다. 그는 “이번 결정에 이 의원 의중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나라고 본다”고 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