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이면서 대나무만 먹는 대왕판다 식성 600만년 전에도 존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대 판다 손목 화석서 대나무 잡는 여섯 번째 '가짜 엄지' 확인
판다는 거의 대나무만 먹는 까다로운 입맛을 갖고 있다.
배가 고플 땐 곤충이나 설치류도 잡아먹는다고 하지만 대나무가 먹이의 99%를 차지하고 있다.
원래 식육목 곰과 동물이다 보니 이런 식성은 상대적으로 최근에 생긴 것으로 여겨져 왔는데 화석을 통해 적어도 600만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새로운 증거가 나왔다.
대나무를 잡는 데 이용하는 여섯 번째 손가락과 같은 독특한 가짜 엄지가 고대 화석에서도 발견됐다는 것이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자연사박물관'에 따르면 이 박물관 척추고생물학 큐레이터 왕샤오밍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대왕판다(Ailuropoda melanoleuca)의 조상 화석에서 가짜 엄지를 확인해 분석한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발표했다.
중국 남부 윈난성 자오퉁시의 슈이탕바 지역에서 발굴된 이 화석은 약 700만∼600만 년 전 중신세 후기에 서식했던 고대 판다의 한 속(屬)인 '아이루라르크토스'(Ailurarctos)에게서 나온 것으로 분석됐다.
손목에서 엄지처럼 돌출된 뼈는 대왕판다가 가진 여섯 번째 손가락의 가장 오래된 증거가 됐다.
판다의 가짜 엄지 존재는 100여년 전에 처음 알려졌으나 화석이 많지 않아 10만∼15만년 전까지만 기록이 확보된 상태였다.
왕 박사는 "대왕판다는 대나무숲 깊은 곳에서 고기와 산딸기 대신 영양은 낮지만 아열대숲에 많았던 대나무를 먹는 쪽으로 옮겨갔다"면서 "대나무를 씹어먹을 수 있는 크기로 잘게 쪼개기 위해 줄기를 단단히 붙잡는 것은 많은 양의 대나무를 먹는 데 가장 중요한 적응이었을 것"이라고 했다.
연구팀은 이 화석을 통해 현대 대왕판다의 가짜 엄지가 외형적으로 덜 발달된 형태를 보이는 이유도 규명했다.
아이루라르크토스는 가짜 엄지가 대왕판다보다 길고 직선형인데 비해 대왕판다는 짧은 갈고리형이어서 차이를 보였다.
연구팀은 가짜 엄지를 대나무를 잡고 뜯어먹을 때는 물론 다음 먹이를 찾아 걸어갈 때 몸무게를 지탱하는데도 이용하는 과정에서 긴 뼈가 짧은 갈고리형으로 진화하게 된 것으로 분석됐다.
논문 공동 저자인 애리조나주립대학 인류기원연구소의 데니스 수 부교수는 "500만∼600만 년이면 판다가 더 긴 가짜 엄지를 갖는데 충분한 시간이지만, 이동할 때 몸무게를 받쳐줘야 하는 진화적 압력이 가짜 엄지를 (걷는데) 방해되지 않으면서 (대나무를 잡을 때) 유용할 수 있게 짧고 강하게 만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왕 박사는 "육식성 조상에서 진화해 대나무만 먹는 종으로 바뀐 판다는 많은 장애를 넘어야만 했을 것"이라면서 "손목뼈에서 나온 마주 볼 수 있는 '엄지'는 판다가 넘은 장애 중 가장 놀라운 진화일 수 있다"고 했다.
/연합뉴스
배가 고플 땐 곤충이나 설치류도 잡아먹는다고 하지만 대나무가 먹이의 99%를 차지하고 있다.
원래 식육목 곰과 동물이다 보니 이런 식성은 상대적으로 최근에 생긴 것으로 여겨져 왔는데 화석을 통해 적어도 600만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새로운 증거가 나왔다.
대나무를 잡는 데 이용하는 여섯 번째 손가락과 같은 독특한 가짜 엄지가 고대 화석에서도 발견됐다는 것이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자연사박물관'에 따르면 이 박물관 척추고생물학 큐레이터 왕샤오밍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대왕판다(Ailuropoda melanoleuca)의 조상 화석에서 가짜 엄지를 확인해 분석한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발표했다.
중국 남부 윈난성 자오퉁시의 슈이탕바 지역에서 발굴된 이 화석은 약 700만∼600만 년 전 중신세 후기에 서식했던 고대 판다의 한 속(屬)인 '아이루라르크토스'(Ailurarctos)에게서 나온 것으로 분석됐다.
손목에서 엄지처럼 돌출된 뼈는 대왕판다가 가진 여섯 번째 손가락의 가장 오래된 증거가 됐다.
판다의 가짜 엄지 존재는 100여년 전에 처음 알려졌으나 화석이 많지 않아 10만∼15만년 전까지만 기록이 확보된 상태였다.
왕 박사는 "대왕판다는 대나무숲 깊은 곳에서 고기와 산딸기 대신 영양은 낮지만 아열대숲에 많았던 대나무를 먹는 쪽으로 옮겨갔다"면서 "대나무를 씹어먹을 수 있는 크기로 잘게 쪼개기 위해 줄기를 단단히 붙잡는 것은 많은 양의 대나무를 먹는 데 가장 중요한 적응이었을 것"이라고 했다.
연구팀은 이 화석을 통해 현대 대왕판다의 가짜 엄지가 외형적으로 덜 발달된 형태를 보이는 이유도 규명했다.
아이루라르크토스는 가짜 엄지가 대왕판다보다 길고 직선형인데 비해 대왕판다는 짧은 갈고리형이어서 차이를 보였다.
연구팀은 가짜 엄지를 대나무를 잡고 뜯어먹을 때는 물론 다음 먹이를 찾아 걸어갈 때 몸무게를 지탱하는데도 이용하는 과정에서 긴 뼈가 짧은 갈고리형으로 진화하게 된 것으로 분석됐다.
논문 공동 저자인 애리조나주립대학 인류기원연구소의 데니스 수 부교수는 "500만∼600만 년이면 판다가 더 긴 가짜 엄지를 갖는데 충분한 시간이지만, 이동할 때 몸무게를 받쳐줘야 하는 진화적 압력이 가짜 엄지를 (걷는데) 방해되지 않으면서 (대나무를 잡을 때) 유용할 수 있게 짧고 강하게 만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왕 박사는 "육식성 조상에서 진화해 대나무만 먹는 종으로 바뀐 판다는 많은 장애를 넘어야만 했을 것"이라면서 "손목뼈에서 나온 마주 볼 수 있는 '엄지'는 판다가 넘은 장애 중 가장 놀라운 진화일 수 있다"고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