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재단 "면역 활성 나노입자와 전기자극으로 항암 치료"
한국연구재단은 면역 활성 나노입자와 전기 자극을 병용해 암을 치료할 수 있는 고효율 면역 항암 치료법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박우람 성균관대 교수·김익환 고려대 교수·한동근 차의과대 교수 공동 연구팀이 개발한 금속·페놀 네트워크 기반 면역 활성 나노입자는 망간 이온과 면역 반응을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면역증강제를 함유하고 있다.

이는 각각의 망간, 면역증강제보다 쉽게 신체 내 면역세포 가운데 하나인 대식세포 내부로 유입되는데, 적은 양으로도 효율적인 대식세포 활성화를 이끌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대식세포는 암세포를 잡아먹고, 이를 분해해 항원을 제시하는 중요 역할을 한다.

종양에 주입된 면역 활성 나노입자는 종양 내 오래 체류할 뿐만 아니라 부작용을 발생시키지 않고, 면역세포 활성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동물실험 결과 확인됐다.

나노입자와 함께 사용된 치료기법인 비가역적 전기천공법은 강한 펄스 전기장을 이용해 암세포 세포막에 영구적인 손상을 일으켜 사멸시키는 최신 종양 절제술이다.

기존 항암치료에서 널리 사용되던 고주파 온열 암 치료와 비교할 때 주변 조직 손상이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박우람 교수는 "비가역적 전기천공법과 연구팀이 개발한 면역 활성 나노입자를 병용 치료할 때 생쥐 종양 모델에서 활성화된 면역세포들이 증대돼 종양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했다"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향후 임상에 적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안정성과 유효성을 확립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재료·나노 분야 국제학술지인 '스몰'(Small)에 지난달 16일 온라인 게재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