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금융 60억불 중 30억불만 받아…유류 보조금 철폐 등 긴축이 관건
'경제난' 파키스탄 기름값 20% 대폭 인상…IMF 지원 재개 겨냥(종합)
심각한 경제난에 시달리는 파키스탄이 중단된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 지원 재개를 겨냥해 기름값을 대폭 인상했다.

미프타 이스마일 파키스탄 재무부 장관은 26일 밤(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정부는 휘발유, 경유, 등유 등의 가격을 27일부터 리터당 30루피(약 187원)씩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휘발유 가격은 리터당 179.86루피(약 1천120원)가 되는 등 기름값은 전반적으로 약 20%가량 오르게 됐다.

이스마일 장관은 이날 기자회견도 열고 "이번 결정은 IMF 프로그램을 확실하게 회생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파키스탄은 2019년 7월 IMF로부터 3년간 60억달러(약 7조6천억원) 규모의 구제금융 지원을 받기로 합의했지만 지금까지 30억달러(약 3조8천억원)만 받은 상태다.

세수 확대 등 통화 정책 관련 이견 때문이다.

특히 IMF는 연료 보조금 지급 축소와 영업세 면제 중단 등 강도 높은 긴축·세수 확대 정책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IMF로부터 20억달러(약 2조5천억원) 추가 지원에 대한 동의를 얻어낸 파키스탄은 지원금 확보와 경제난 타개를 위해 IMF의 요구에 충실히 따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로이터통신은 이날 파키스탄 정부가 연료 보조금 지급을 폐지하고 기름값을 올릴 경우 IMF가 9억달러(약 1조1천억원)를 우선 지원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파키스탄 경제는 대규모 인프라 투자 등으로 인해 대외 부채가 많은 상황에서 코로나19 등이 겹치면서 수렁에 빠진 상태다.

지난해 4분기 기준 총 대외 채무는 1천300억달러(약 164조원)에 달하지만 중앙은행의 외화보유고는 최근 101억달러(약 12조7천억원)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27일 블룸버그가 집계한 통계에 따르면 파키스탄은 앞으로 3년간 64억달러(약 8조원) 규모의 대외 부채를 상환해야한다.

올해 갚아야할 국채 등 대외 부채는 31억6천만달러(약 4조원)이며 내년과 내후년에 만기가 돌아오는 채무는 각각 15억2천만달러(약 1조9천억원), 17억1천만달러(약 2조1천억원)다.

블룸버그는 또 2021∼2022 회계연도(해마다 7월에 시작)의 무역 적자는 450억달러(약 57조7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지난 4월 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13.4% 오르는 등 최근 인플레이션도 심각한 상황이다.

와중에 의회 불신임으로 퇴출당한 임란 칸 전 총리는 지지자들을 이끌고 수도 이슬라마바드에서 대규모 집회와 행진 시위를 벌였다.

칸 전 총리는 이날 집회에서 조기 총선을 요구하며 정부에 6일 이내로 이에 대한 결정을 내리라고 다그쳤다.

그는 미국 등 외국 세력의 음모로 총리직에서 밀려났다고 주장해왔다.

이에 대해 셰바즈 샤리프 신임 총리는 조기 총선 개최 여부는 의회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며 협박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2018년부터 정권을 이끈 칸 전 총리는 지난달 초 총리직에서 밀려났으며 다음 총선은 내년 하반기로 예정돼 있다.

'경제난' 파키스탄 기름값 20% 대폭 인상…IMF 지원 재개 겨냥(종합)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