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올해 6번째 ICBM 발사…'화성-17형' 전력화에 총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핵탄두' 투발 수단 다양화…실전배치 땐 한미일 모두 위협
북한이 올해만 6번째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시험 발사하며 전략적 도발 수위를 끌어올렸다.
25일 오전 6시께부터 북한이 평양 순안비행장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탄도미사일 3발 가운데 첫 미사일은 ICBM으로 추정된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
이 미사일은 약 360㎞를 비행했고 고도는 약 540㎞로 포착됐으며 군 당국은 북한의 신형 ICBM인 화성-17형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분석 중이다.
북한의 ICBM 시험 발사는 이번이 올해 6번째다.
북한은 올해 초 핵실험·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유예(모라토리엄) 조치 폐기 방침을 시사한 뒤 2월 27일과 3월 5일 정찰위성 개발 시험 목적이라 주장하면서 화성-17형을 쐈다.
통상 시험발사 다음날 미사일 발사 사실과 비행거리·고도 등 제원을 공개하는 북한은 당시 두 차례 모두 제원은 거론하지 않은 채 '정찰위성 개발 계획에 따른 중요시험'이라고 주장했다.
북한은 3월 16일 다시 시험 발사에 나섰으나 역시 화성-17형으로 추정되는 이 미사일은 고도 20㎞에도 이르지 못한 초기 단계에서 폭발해버렸다.
북한은 같은달 24일 재차 도발에 나서 비행거리 1천80㎞, 최고 고도 6천200㎞ 이상에 이르는 ICBM 궤적을 그렸다.
앞서 세 차례 발사에서 ICBM을 준중거리탄도미사일(MRBM) 궤적으로 발사했다면 이날은 2017년 11월 이후 4년 4개월 만에 최대 성능으로 ICBM을 발사해 모라토리엄에 완전히 종지부를 찍었다.
북한은 이튿날 보도에서 "화성포-17형 시험발사가 단행됐다"며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친필 명령서에 "용감히 쏘라"고 적었다고 밝혔고, 김 위원장이 등장하는 뮤직비디오 형식의 화려한 발사 영상까지 송출하며 분위기를 띄웠다.
하지만 국방부는 미사일 비행 특성, 발사 영상에 나타난 그림자·기상·기술요소 등을 분석한 결과 북한이 화성-17형의 직전 실패를 만회하고자 화성-15형을 쏘고는 화성-17형이라 주장했다고 결론지었다.
지난 4일 발사한 ICBM은 군에서는 화성-15형이라고 보는데 화성-17형일 수 있다는 일부 관측이 상존한다.
이 미사일은 비행거리 470㎞, 고도 780㎞로 탐지됐다.
1단 엔진 연소 이후 폭파됐으며 폭파 원인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 미사일이 화성-17형이라면 3월 16일 실패 이후 문제가 포착된 1단 엔진을 다시 검증하려는 목적이었을 수 있다.
올해 6차례 ICBM 시험발사는 모두 평양 순안비행장에서 진행됐다.
북한이 속임수 영상까지 만들어가며 전력화에 안간힘을 쓰는 화성-17형은 핵탄두 2∼3개가 들어갈 수 있는 다탄두(MIRV) 형상으로, 탄두부에서는 미사일 마지막 단 분리 후 탄두를 제어할 수 있는 후추진체(PBV)가 식별됐다.
PBV는 다탄두 탑재에 필수적이지만, 북한은 아직 개발 초기 단계라는 분석이 있다.
화성-17형은 2020년 10월 10일 노동당 창건 75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
길이 22∼24m로 추정되는 세계 최장 ICBM이다.
북한은 핵탄두 투발 수단 다양화를 위해 ICBM과 단거리 탄도미사일 등의 시험 발사를 계속하고 있다.
핵 탑재가 가능한 이들 미사일이 전력화되면 미국 뿐 아니라 한국과 일본에도 심각한 위협이라고 군사 전문가들은 주장한다.
/연합뉴스
25일 오전 6시께부터 북한이 평양 순안비행장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탄도미사일 3발 가운데 첫 미사일은 ICBM으로 추정된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
이 미사일은 약 360㎞를 비행했고 고도는 약 540㎞로 포착됐으며 군 당국은 북한의 신형 ICBM인 화성-17형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분석 중이다.
북한의 ICBM 시험 발사는 이번이 올해 6번째다.
북한은 올해 초 핵실험·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유예(모라토리엄) 조치 폐기 방침을 시사한 뒤 2월 27일과 3월 5일 정찰위성 개발 시험 목적이라 주장하면서 화성-17형을 쐈다.
통상 시험발사 다음날 미사일 발사 사실과 비행거리·고도 등 제원을 공개하는 북한은 당시 두 차례 모두 제원은 거론하지 않은 채 '정찰위성 개발 계획에 따른 중요시험'이라고 주장했다.
북한은 3월 16일 다시 시험 발사에 나섰으나 역시 화성-17형으로 추정되는 이 미사일은 고도 20㎞에도 이르지 못한 초기 단계에서 폭발해버렸다.
북한은 같은달 24일 재차 도발에 나서 비행거리 1천80㎞, 최고 고도 6천200㎞ 이상에 이르는 ICBM 궤적을 그렸다.
앞서 세 차례 발사에서 ICBM을 준중거리탄도미사일(MRBM) 궤적으로 발사했다면 이날은 2017년 11월 이후 4년 4개월 만에 최대 성능으로 ICBM을 발사해 모라토리엄에 완전히 종지부를 찍었다.
북한은 이튿날 보도에서 "화성포-17형 시험발사가 단행됐다"며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친필 명령서에 "용감히 쏘라"고 적었다고 밝혔고, 김 위원장이 등장하는 뮤직비디오 형식의 화려한 발사 영상까지 송출하며 분위기를 띄웠다.
하지만 국방부는 미사일 비행 특성, 발사 영상에 나타난 그림자·기상·기술요소 등을 분석한 결과 북한이 화성-17형의 직전 실패를 만회하고자 화성-15형을 쏘고는 화성-17형이라 주장했다고 결론지었다.
지난 4일 발사한 ICBM은 군에서는 화성-15형이라고 보는데 화성-17형일 수 있다는 일부 관측이 상존한다.
이 미사일은 비행거리 470㎞, 고도 780㎞로 탐지됐다.
1단 엔진 연소 이후 폭파됐으며 폭파 원인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 미사일이 화성-17형이라면 3월 16일 실패 이후 문제가 포착된 1단 엔진을 다시 검증하려는 목적이었을 수 있다.
올해 6차례 ICBM 시험발사는 모두 평양 순안비행장에서 진행됐다.
북한이 속임수 영상까지 만들어가며 전력화에 안간힘을 쓰는 화성-17형은 핵탄두 2∼3개가 들어갈 수 있는 다탄두(MIRV) 형상으로, 탄두부에서는 미사일 마지막 단 분리 후 탄두를 제어할 수 있는 후추진체(PBV)가 식별됐다.
PBV는 다탄두 탑재에 필수적이지만, 북한은 아직 개발 초기 단계라는 분석이 있다.
화성-17형은 2020년 10월 10일 노동당 창건 75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
길이 22∼24m로 추정되는 세계 최장 ICBM이다.
북한은 핵탄두 투발 수단 다양화를 위해 ICBM과 단거리 탄도미사일 등의 시험 발사를 계속하고 있다.
핵 탑재가 가능한 이들 미사일이 전력화되면 미국 뿐 아니라 한국과 일본에도 심각한 위협이라고 군사 전문가들은 주장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