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오미크론으로 최소 3만4천명 사망할 듯"…서울대 세미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오명돈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장 발표…"보수적 추정치"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 위원장인 오명돈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북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로 최소 3만4천여명이 사망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
오 교수는 16일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과 서울대 의과대학 통일의학센터가 공동으로 주최한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오 교수는 다른 나라에서 오미크론 유행이 시작돼 정점에 도달하는 시간을 고려할 때 북한에서 본격적 유행이 시작된 시기는 4월 15일이었을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발표한 사망률 데이터와 홍콩의 데이터를 종합하면 향후 북한에서 오미크론 유행에 따른 사망자 수는 3만4천540명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일본의 오미크론 감염에 따른 연령별 입원율을 북한에 대입할 경우 환자 10만명당 5천457명이 입원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는 북한 주민의 30%가 감염될 경우 42만명이, 50%가 감염되면 70만명이 입원해야 한다는 뜻이다.
오 교수는 사망자 예측치에 대해 "홍콩은 의료 인프라가 북한보다 낫고 유행이 모두 지나기 전까지 모은 데이터라 사망률 수치가 조금 낮게 집계됐음을 고려하면 (북한의 사망 예측치) 3만4천여 명은 보수적인 추정치"라고 설명했다.
이어 "물론 이 수치는 북한 대응에 따라 충분히 줄어들 수도 있다"며 "저는 이 수치가 유행이 다 지나간 뒤 되돌아봤을 때 터무니없이 과장된 것으로 밝혀지길 진심으로 소망한다"고 말했다.
북한이 지난달 말부터 지난 14일까지 전국적인 유열자(발열자)가 누적 121만3천550여명이고 사망자가 50명이라고 한 발표가 얼마나 신빙성 있냐는 질문에는 확진과 사망 간 '시차'가 있다고 답했다.
오 교수는 "감염된 다음 사망할 때까지는 시간이 걸린다.
가령 오늘 10만명이 진단됐다면 이 가운데 이르면 제2주째, 늦으면 제4주째에도 사망하실 수 있다"고 했다.
백신은 현재 상황에선 북한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전망했다.
백신을 도입하고 전국에 배포해 주민들에게 접종한 뒤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아무리 빨라도 1개월이 넘게 걸리는데, 그때는 이미 유행 곡선의 정점을 지났다는 것이다.
오 교수는 "당연히 백신은 우리가 가진 대응 수단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이라며 "그러나 오늘 당장 북한이 백신을 받아들인다고 결정해도 물류 통관과 접종 후 예방효과가 나타나는 시간을 고려하면 상당히 늦어진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백신에 너무 주력하기보다 당장 환자에게 도움이 될 시급한 조치를 챙기는 게 절실하다"며 대증요법과 폐렴 치료, 항바이러스 치료 등을 예시로 들었다.
특히 "새로운 질병의 진단과 치료는 경험을 쌓고 노하우를 파악할 때까지 여러 시행착오를 겪는다"며 "만약 남북 의료인 간 대화채널을 열 수 있다면 저희가 2년간 축적한 지식과 경험이 북한 주민 진료에 큰 보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병로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교수 역시 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할 경우 북한 사회에 큰 충격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 교수는 "북한에서는 코로나19 사태를 6·25전쟁과 고난의 행군 때 100만명 넘게 사망했던 대규모 참사에 비견될 굉장한 사건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평시에도 의료시설 낙후도는 심각했기에 대처 능력이 상당히 떨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북한이 2019년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완전히 마음을 닫고 사회주의 국제연대에 승부를 걸겠다는 상황이라 중국과 협력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그렇더라도 우리는 남북 양자 간 협력에 대비해 적극적인 지원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며 "정치적 고려를 따지지 말고 동포애와 인류애 차원에서 접근했으면 한다"고 주문했다.
/연합뉴스
오 교수는 16일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과 서울대 의과대학 통일의학센터가 공동으로 주최한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오 교수는 다른 나라에서 오미크론 유행이 시작돼 정점에 도달하는 시간을 고려할 때 북한에서 본격적 유행이 시작된 시기는 4월 15일이었을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발표한 사망률 데이터와 홍콩의 데이터를 종합하면 향후 북한에서 오미크론 유행에 따른 사망자 수는 3만4천540명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일본의 오미크론 감염에 따른 연령별 입원율을 북한에 대입할 경우 환자 10만명당 5천457명이 입원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는 북한 주민의 30%가 감염될 경우 42만명이, 50%가 감염되면 70만명이 입원해야 한다는 뜻이다.
오 교수는 사망자 예측치에 대해 "홍콩은 의료 인프라가 북한보다 낫고 유행이 모두 지나기 전까지 모은 데이터라 사망률 수치가 조금 낮게 집계됐음을 고려하면 (북한의 사망 예측치) 3만4천여 명은 보수적인 추정치"라고 설명했다.
이어 "물론 이 수치는 북한 대응에 따라 충분히 줄어들 수도 있다"며 "저는 이 수치가 유행이 다 지나간 뒤 되돌아봤을 때 터무니없이 과장된 것으로 밝혀지길 진심으로 소망한다"고 말했다.
북한이 지난달 말부터 지난 14일까지 전국적인 유열자(발열자)가 누적 121만3천550여명이고 사망자가 50명이라고 한 발표가 얼마나 신빙성 있냐는 질문에는 확진과 사망 간 '시차'가 있다고 답했다.
오 교수는 "감염된 다음 사망할 때까지는 시간이 걸린다.
가령 오늘 10만명이 진단됐다면 이 가운데 이르면 제2주째, 늦으면 제4주째에도 사망하실 수 있다"고 했다.
백신은 현재 상황에선 북한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전망했다.
백신을 도입하고 전국에 배포해 주민들에게 접종한 뒤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아무리 빨라도 1개월이 넘게 걸리는데, 그때는 이미 유행 곡선의 정점을 지났다는 것이다.
오 교수는 "당연히 백신은 우리가 가진 대응 수단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이라며 "그러나 오늘 당장 북한이 백신을 받아들인다고 결정해도 물류 통관과 접종 후 예방효과가 나타나는 시간을 고려하면 상당히 늦어진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백신에 너무 주력하기보다 당장 환자에게 도움이 될 시급한 조치를 챙기는 게 절실하다"며 대증요법과 폐렴 치료, 항바이러스 치료 등을 예시로 들었다.
특히 "새로운 질병의 진단과 치료는 경험을 쌓고 노하우를 파악할 때까지 여러 시행착오를 겪는다"며 "만약 남북 의료인 간 대화채널을 열 수 있다면 저희가 2년간 축적한 지식과 경험이 북한 주민 진료에 큰 보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병로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교수 역시 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할 경우 북한 사회에 큰 충격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 교수는 "북한에서는 코로나19 사태를 6·25전쟁과 고난의 행군 때 100만명 넘게 사망했던 대규모 참사에 비견될 굉장한 사건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평시에도 의료시설 낙후도는 심각했기에 대처 능력이 상당히 떨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북한이 2019년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완전히 마음을 닫고 사회주의 국제연대에 승부를 걸겠다는 상황이라 중국과 협력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그렇더라도 우리는 남북 양자 간 협력에 대비해 적극적인 지원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며 "정치적 고려를 따지지 말고 동포애와 인류애 차원에서 접근했으면 한다"고 주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