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교육차관 "공교육 전반적 전환 필요…교육부 거듭나야"(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초·중등교육은 '공정', 대학교육은 '자율' 강조
장상윤 신임 교육부 차관이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재를 기르려면 공교육 체제 전반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교육에 대한 국민의 아쉬움이 지지로 바뀔 수 있도록 교육부의 변화를 위해 힘쓰겠다고도 밝혔다.
장 신임 차관은 1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취임식을 하고 "교육혁신에 대한 국민의 기대와 희망을 잘 알고 있기에 공백없이 새 정부의 교육정책을 이끌겠다는 의지 또한 어느 때보다 강하다"고 말했다.
그는 "아이들이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고 개개인의 소질과 적성을 살릴 수 있도록 공교육 체제 전반의 전환을 이끌겠다"며 "디지털·신기술을 기반으로 교육 환경도 개선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학령인구 급감 등과 맞물려 위기를 겪는 대학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혁신 기반을 마련하고, 대학이 각각의 특성을 살려 자율적으로 혁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도 밝혔다.
장 차관은 교육부가 '유능한 부처'로 거듭나야 한다며 변화를 촉구하기도 했다.
그는 교육부가 "버릴 것은 과감하게 버리고 개혁할 것은 적극적으로 개혁하는 유능한 부처로 거듭나야 한다"며 "교육에 대한 국민의 아쉬움과 질책이 애정과 지지로 바뀌도록 교육부를 변화시키고 교육을 발전시키는 데 온 힘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 차관은 취임식 직후 기자들과 만나 초·중등교육에서는 '공정'을, 대학교육에서는 '창의'를 가장 중요한 가치로 삼고 정책을 추진할 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사회적인 가치 가운데 '기회의 공정'과 관련해 대표적인 분야가 초·중·고교 교육"이라며 "대학이나 성인쪽에서는 자율과 창의가 키워드"라고 말했다.
장 차관은 이를 위해 정부가 나서 모든 것을 다 하기보다는 민간이 잘 할 수 있는 부분에서 규제를 과감하게 풀겠다고 했다.
지역 대학과 지자체가 함께 나서 지역 인재를 활용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고 이를 정부가 지원하는 식이다.
교육부의 변화 필요성과 관련해서는 "공무원으로서 규정과 규칙이 정해져 있는 상황에서 일해야 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필요하다면) 규정을 고쳐 현실에 맞게 벗어나려는 노력을 더 했으면 좋겠다"며 "새 정부가 방향을 제시했으니 이를 만족시키려면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교육계에서는 장관 공백 상황에서 타 부처 출신 차관이 임명된 것이 교육부의 변화와 자성을 촉구하는 질책성 메시지라는 해석이 나온다.
역사교과서 국정화와 정시·수시모집 비율 조정 등 대입개편, 자율형사립고·외국어고 폐지 등 주요 정책이 정권이 바뀔 때마다 뒤집히고 논란을 일으키면서 정치권에서는 교육부 해체론이 나오기도 했다.
교육부 안에서도 타 부처 출신이 실장·차관보 등 교육부 내 다른 직책을 거치지 않고 바로 차관으로 임명된 것이 상당히 이례적이라고 보고 있다.
/연합뉴스
장상윤 신임 교육부 차관이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재를 기르려면 공교육 체제 전반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교육에 대한 국민의 아쉬움이 지지로 바뀔 수 있도록 교육부의 변화를 위해 힘쓰겠다고도 밝혔다.
장 신임 차관은 1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취임식을 하고 "교육혁신에 대한 국민의 기대와 희망을 잘 알고 있기에 공백없이 새 정부의 교육정책을 이끌겠다는 의지 또한 어느 때보다 강하다"고 말했다.
그는 "아이들이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고 개개인의 소질과 적성을 살릴 수 있도록 공교육 체제 전반의 전환을 이끌겠다"며 "디지털·신기술을 기반으로 교육 환경도 개선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학령인구 급감 등과 맞물려 위기를 겪는 대학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혁신 기반을 마련하고, 대학이 각각의 특성을 살려 자율적으로 혁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도 밝혔다.
장 차관은 교육부가 '유능한 부처'로 거듭나야 한다며 변화를 촉구하기도 했다.
그는 교육부가 "버릴 것은 과감하게 버리고 개혁할 것은 적극적으로 개혁하는 유능한 부처로 거듭나야 한다"며 "교육에 대한 국민의 아쉬움과 질책이 애정과 지지로 바뀌도록 교육부를 변화시키고 교육을 발전시키는 데 온 힘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 차관은 취임식 직후 기자들과 만나 초·중등교육에서는 '공정'을, 대학교육에서는 '창의'를 가장 중요한 가치로 삼고 정책을 추진할 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사회적인 가치 가운데 '기회의 공정'과 관련해 대표적인 분야가 초·중·고교 교육"이라며 "대학이나 성인쪽에서는 자율과 창의가 키워드"라고 말했다.
장 차관은 이를 위해 정부가 나서 모든 것을 다 하기보다는 민간이 잘 할 수 있는 부분에서 규제를 과감하게 풀겠다고 했다.
지역 대학과 지자체가 함께 나서 지역 인재를 활용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고 이를 정부가 지원하는 식이다.
교육부의 변화 필요성과 관련해서는 "공무원으로서 규정과 규칙이 정해져 있는 상황에서 일해야 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필요하다면) 규정을 고쳐 현실에 맞게 벗어나려는 노력을 더 했으면 좋겠다"며 "새 정부가 방향을 제시했으니 이를 만족시키려면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교육계에서는 장관 공백 상황에서 타 부처 출신 차관이 임명된 것이 교육부의 변화와 자성을 촉구하는 질책성 메시지라는 해석이 나온다.
역사교과서 국정화와 정시·수시모집 비율 조정 등 대입개편, 자율형사립고·외국어고 폐지 등 주요 정책이 정권이 바뀔 때마다 뒤집히고 논란을 일으키면서 정치권에서는 교육부 해체론이 나오기도 했다.
교육부 안에서도 타 부처 출신이 실장·차관보 등 교육부 내 다른 직책을 거치지 않고 바로 차관으로 임명된 것이 상당히 이례적이라고 보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