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에 나오는 보·궤 등 유물…"온전한 제기 다량 출토 첫 사례"
용인 고려 가마터서 1천년 전 왕실 제사그릇 30점 무더기 발견
경기도 용인 고려시대 가마터인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용인 서리 고려백자 요지'에서 1천 년 전쯤 만든 왕실 제기(祭器·제사 관련 그릇이나 도구)로 추정되는 도자기 수십 점이 한꺼번에 발견됐다.

용인시와 매장문화재 조사기관 서경문화재연구원(원장 임영호)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서리 335-1번지 일원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해 조사지 북쪽 건물터 외곽의 구덩이로 보이는 장소에서 왕실 백자 제기 약 30점을 찾아냈다고 25일 밝혔다.

서경문화재연구원은 고려시대 유적에서 이처럼 온전한 형태의 제기가 다량 출토된 것은 처음이라고 강조했다.

제작 시기는 10세기 후반에서 11세기 초반 사이로 판단됐다.

제기 높이는 30∼34㎝이다.

용인 고려 가마터서 1천년 전 왕실 제사그릇 30점 무더기 발견
유물은 중국 송나라 때 문헌인 '삼례도'와 '고려도경'에서 확인되는 보와 궤다.

보는 벼와 조를 담는 그릇으로, 바깥쪽은 네모지고 안쪽은 둥근 형태다.

궤는 기장을 담는 그릇이며, 보와 반대로 바깥쪽이 동그랗고 안쪽은 사각형이다.

제기 외에도 가마 안에서 도자기에 불길이 직접 닿지 않도록 씌우는 큰 그릇인 갑발이 나왔다.

서경문화재연구원 관계자는 "고려 도자는 물론 왕실 통치철학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며 "유교 이념으로 국가를 통치한 고려 왕실은 제사를 지낼 때 도자 제기를 사용했고, 1059년에는 '제기도감'이라는 관청을 설치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가마터에서는 대부분 도자기 파편이 발견되고, 파손되지 않은 그릇은 많이 나오지 않는다"며 "이번에 도자기가 모여 있던 장소 인근의 건물터는 관청이나 공방으로 짐작된다"고 덧붙였다.

조사단은 형태가 온전한 제기를 모아둔 이유에 대해 왕실에 납품하기 전 제기 선별 작업을 하거나 그릇을 보관했던 장소일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다.

납품 이후 불필요해진 제기를 폐기한 장소라는 견해도 제기됐다.

용인 고려 가마터서 1천년 전 왕실 제사그릇 30점 무더기 발견
용인 서리 고려백자 요지는 고려시대 초기부터 백자를 생산한 가마터로, 벽돌로 지은 가마와 길이 83m인 진흙 가마 등이 확인됐다.

1980년대 세 차례 발굴조사가 이뤄졌고, 지난해 6월부터 사적 남쪽 구역에서 제4차 발굴조사를 했다.

건물터와 통로, 계단, 도자기 폐기장 등 자기 생산 관련 유적과 이른 시기의 고려 백자그릇 등이 발견됐다.

용인 고려 가마터서 1천년 전 왕실 제사그릇 30점 무더기 발견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