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수도권 버스 총파업 예고…교통대란 '비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임금 인상·고용 안정 등 요구
25일 자정까지 합의 못하면
26일 첫차부터 운행 중단
서울시, 노조와 협상 나서
25일 자정까지 합의 못하면
26일 첫차부터 운행 중단
서울시, 노조와 협상 나서
전국 버스가 오는 26일 한꺼번에 멈춰설 위기에 처했다. 지방자치단체·버스운수업체와 임금 인상 협상을 벌이고 있는 전국 버스노조가 자신들의 주장이 관철되지 않자 서민 이동 수단을 볼모로 극단 투쟁 카드를 꺼내든 것이다. 시내·광역버스 등 총 3만5000여 대가 대상이다. 파업이 현실화할 경우 서울에선 버스 99%가 멈춰서고, 전국적으로는 절반이 넘는 버스가 운행을 중단하는 초유의 ‘교통대란’이 불가피해진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의 출근길 지하철 점거에 이어 대중교통을 볼모로 한 분쟁이 또다시 이어지면서 시민들의 반감도 커지고 있다.
24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산하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에 따르면 지난 20일 파업 결의를 한 서울, 부산, 대구, 광주, 경기 등 전국 10곳의 특별·광역지자체와 추가 가담한 제주도까지 11곳 대부분의 협상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협상이 결렬되면 26일부터 전국 버스기사 4만5000여 명이 운행하는 버스 2만여 대가 첫차부터 운행을 중단한다. 총 3만5000여 대의 전국 시내·광역버스 가운데 약 57%다. 서울 시내버스의 경우 99%가 넘는 7300여 대가 운행을 멈출 예정이다. 부산과 대구 시내버스도 26일과 27일 차례로 운행을 중단한다. 경기도 버스노조 협의회 34개 버스회사의 2000여 대 광역버스와 5000여 대 시내버스가 멈추면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을 전망이다. 대도시 지하철은 물론 올림픽대로와 강변북로 주변 등 도심 교통체증도 심해질 전망이다.
경기 고양시에 사는 최모씨는 “안 그래도 전장연이 지하철을 막아서 불편한데 버스까지 이러면 어쩌냐”며 “버스가 없으면 출퇴근이 사실상 어려워 연차라도 내야 하나 고민”이라고 불만을 터뜨렸다. 지자체들은 파업에 대비한 비상 수송대책 마련에 한창이다. 서울·대구시 등은 관용버스와 전세버스 등을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수원시는 개인·법인택시 부제를 일시 해제해 공급을 늘리기로 했다.
이번 버스 노조의 파업 결의는 2019년 주52시간제에 따른 임금 감소분을 보전하라며 파업 결의를 한 이후 3년 만이다. 당시엔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홍남기 부총리 등이 적극 중재에 나서 버스 준공영제 확대 등을 공언하며 정부 재정을 투입해 버스 운행 중단을 피했다. 하지만 이번엔 새 정부 출범 직전의 중재 공백 등으로 비슷한 해법이 작동하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정권 교체를 앞둔 여야 정치권의 중재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협상 타결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버스노조는 지역 운수업체 등 사용자·지자체 등과 협상을 이어갈 예정이다. 서울시는 25일 오전 버스운송업자들을 불러 모아 입장을 정리한 뒤 오후 3시 지방노동위원회에서 노조와 마지막 조정 회의를 한다. 정부가 중재에 나선 3년 전과 달리 이번엔 개별 협상이 진행되는 탓에 지역별로 파업이 일어날 가능성도 점쳐진다. 전남 순천에선 지난 20일부터 버스회사 두 곳의 노조가 파업해 시내버스 운행이 중단됐다.
최세영/곽용희/장강호 기자 seyeong2022@hankyung.com
24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산하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에 따르면 지난 20일 파업 결의를 한 서울, 부산, 대구, 광주, 경기 등 전국 10곳의 특별·광역지자체와 추가 가담한 제주도까지 11곳 대부분의 협상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협상이 결렬되면 26일부터 전국 버스기사 4만5000여 명이 운행하는 버스 2만여 대가 첫차부터 운행을 중단한다. 총 3만5000여 대의 전국 시내·광역버스 가운데 약 57%다. 서울 시내버스의 경우 99%가 넘는 7300여 대가 운행을 멈출 예정이다. 부산과 대구 시내버스도 26일과 27일 차례로 운행을 중단한다. 경기도 버스노조 협의회 34개 버스회사의 2000여 대 광역버스와 5000여 대 시내버스가 멈추면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을 전망이다. 대도시 지하철은 물론 올림픽대로와 강변북로 주변 등 도심 교통체증도 심해질 전망이다.
경기 고양시에 사는 최모씨는 “안 그래도 전장연이 지하철을 막아서 불편한데 버스까지 이러면 어쩌냐”며 “버스가 없으면 출퇴근이 사실상 어려워 연차라도 내야 하나 고민”이라고 불만을 터뜨렸다. 지자체들은 파업에 대비한 비상 수송대책 마련에 한창이다. 서울·대구시 등은 관용버스와 전세버스 등을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수원시는 개인·법인택시 부제를 일시 해제해 공급을 늘리기로 했다.
이번 버스 노조의 파업 결의는 2019년 주52시간제에 따른 임금 감소분을 보전하라며 파업 결의를 한 이후 3년 만이다. 당시엔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홍남기 부총리 등이 적극 중재에 나서 버스 준공영제 확대 등을 공언하며 정부 재정을 투입해 버스 운행 중단을 피했다. 하지만 이번엔 새 정부 출범 직전의 중재 공백 등으로 비슷한 해법이 작동하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정권 교체를 앞둔 여야 정치권의 중재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협상 타결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버스노조는 지역 운수업체 등 사용자·지자체 등과 협상을 이어갈 예정이다. 서울시는 25일 오전 버스운송업자들을 불러 모아 입장을 정리한 뒤 오후 3시 지방노동위원회에서 노조와 마지막 조정 회의를 한다. 정부가 중재에 나선 3년 전과 달리 이번엔 개별 협상이 진행되는 탓에 지역별로 파업이 일어날 가능성도 점쳐진다. 전남 순천에선 지난 20일부터 버스회사 두 곳의 노조가 파업해 시내버스 운행이 중단됐다.
최세영/곽용희/장강호 기자 seyeong202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