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미 대입 전형서 필수요건 제외
성적 외 요건 보는 대학에 지원자 몰려…시험 잘보는 학생 상대적으로 불리
미 아이비리그, SAT 성적표 안보자 입학문 '바늘구멍'
미국 명문 대학들이 코로나19 여파로 대학입학 자격시험(SAT)을 입학 필수요건에서 빼면서 명문대에 가기 위한 경쟁이 기록적인 수준으로 치열해졌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신문은 학창 시절 학업과 과외활동에서 화려한 '스펙'을 쌓았던 고등학생 케이틀린 영거(18) 사례를 조명했다.

영거는 11학년(우리나라 기준 고2) 때 SAT 1천600점 만점에 1천550점을 받았고, 올봄에 학점(GPA) 4.0 만점에 평균 3.95점이라는 우수한 성적을 기록한 우등생이었다.

회계동아리를 직접 만들거나 연극 30여 편을 공연·연출하고, 학교 합창단에도 참가하는 등 과외활동도 성실히 챙겼다.

그러나 지난해 지원한 미국 명문대 여러 곳으로부터 탈락 통보를 받았다.

지원한 대학 12곳 중 스탠퍼드대, 하버드대, 예일대, 브라운대, 코넬대 등을 포함한 10곳에서 떨어졌다.

영거는 "몇 곳은 불합격하겠거니 했지만 이렇게 결과가 이렇게 나쁠 줄 예상 못 했다"고 한탄했다.

WSJ는 명문대 합격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영거 같이 우수한 학생이 탈락하는 경우가 늘어났다고 전했다.

이 현상은 미국 대학이 입학 사정 방식을 변경한 것과 관련이 있다.

미 아이비리그, SAT 성적표 안보자 입학문 '바늘구멍'
코로나19 여파로 학생이 시험을 치기 어려워지자 상당수 미국 대학이 시험 성적을 필수로 요구하지 않기로 했는데, 낮아진 장벽에 도전하는 학생이 많아지면서 경쟁률이 높아져 명문대 합격문이 더 좁아졌다는 것이다.

시험 점수 대신 학점이나 수업 난이도, 인종·사회경제 다양성 등에 더 중점을 두는 학교에 지원하는 학생이 늘었고, 결과적으로 중산층 백인인 영거 같은 학생이 다양성 요건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해지기도 했다.

올해 신입생을 모집한 미국 4년제 대학 60% 이상이 SAT 등 시험 점수를 요구하지 않았다.

일례로 신입생 선발 과정에 SAT 성적 제출을 요구하지 않기로 한 하버드대에는 올해 신입생 모집에 6만1천명 이상 지원해 1천954명(3.2%)이 합격했다.

전체 지원자가 작년보다 7% 늘면서 역대 최저 합격률을 기록했다.

이처럼 명문대의 지원 장벽이 낮아지면서 합격률이 뛴 반면 인기가 덜한 대학은 지원자 부족에 시달리는 양극화 현상까지 생겼다.

입학사정관들이 지원서 증가로 개별 검토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줄면서 지원자 입장에서는 심사자 눈에 더 띄어야 하는 부담도 커졌다.

전직 펜실베이니아대 입학사정관이었던 사라 하버슨은 영거 학생의 고등학교 성적과 연극단, 회계동아리 등 활동은 인상적이지만 아이비리그 지원자 사이에서는 그다지 특출나지 않다고 평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