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라카 발라수리야 인터뷰 "코로나 사태도 재정 균형에 부담"
"IMF 외 중국·인도·ADB 등 지원 요청…한국의 투자 협력도 기대"
'디폴트' 스리랑카 외교부 부장관 "IMF 협상 지연에 위기 심화"
스리랑카가 최악의 경제 위기를 맞게 된 이유 가운데 하나는 국제통화기금(IMF)과의 구제금융 협상 개시 지연 때문이라고 정부 고위 관계자가 말했다.

현역 의원으로 스리랑카 외교부 지역협력 담당 부장관을 맡은 타라카 발라수리야(48)는 16일(현지시간)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발라수리야 부장관은 중앙은행 총재는 필요할 때 사람들에게 지금 상황은 지속 가능하지 않으며 IMF 체제로 가야 한다고 해야하는데 전임 중앙은행 총재는 그렇지 않았다고 말했다.

스리랑카는 다음 주부터 IMF와 공식 협상에 들어갈 예정이지만 이는 너무 늦은 대책이라는 평가가 일반적이다.

IMF와 협상이 늦어진 것은 최근까지 중앙은행 총재를 맡았던 아지트 카브랄이 강력하게 반대한 게 큰 이유로 알려졌다.

결국 스리랑카는 외화 보유고가 바닥나면서 석유, 의약품 등 생필품 수입까지 중단될 정도로 경제 위기가 심화됐고 대통령은 이달 초 카브랄을 사실상 경질한 후 IMF와 협상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됐다.

발라수리야 부장관은 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도 재정 균형 상황에 큰 부담을 줬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관광산업 의존도가 높은 스리랑카 경제는 2019년 '부활절 연쇄 폭탄 테러', 2020년 이후 코로나19 등이 겹치면서 큰 타격을 입었다.

발라수리야 부장관은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이 지적하듯 중국과 일대일로(一帶一路: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관련 채무가 경제 위기의 결정적 원인은 아니라고 말했다.

그는 "대외 채무에서 중국이 차지한 비중은 코로나19 이전에는 10%, 최근에는 17% 수준"이라며 "이보다는 국채 발행 관련 빚이 전체의 45%로 훨씬 많다"고 말했다.

발라수리야 부장관은 "스리랑카는 중국 외에 일본, 인도에도 상당한 채무를 지고 있다"며 "스리랑카 경제 위기를 촉발한 것이 중국 관련 채무 때문이라는 지적은 정확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그는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정부는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발라수리야 부장관은 "IMF로부터 40억달러 가량의 구제금융을 받으려 하고 있으며 협상 타결까지는 6개월정도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어 "인도, 중국, 아시아개발은행(ADB), 세계은행(WB) 등으로부터도 지원을 얻어내려고 노력 중"이라고 설명했다.

스리랑카 정부는 이달 초 '일시적 디폴트'(채무 불이행)까지 선언한 상태다.

그는 한국도 스리랑카 경제 지원에 동참하기를 기대했다.

발라수리야 부장관은 "스리랑카인 2만4천명이 한국에서 일하는 등 한국과 스리랑카는 정치적·경제적으로 매우 좋은 관계를 맺고 있다"며 "기술 분야 등 스리랑카에는 한국이 투자할 수 있는 많은 분야가 있다"고 강조했다.

스리랑카에서는 경제 위기가 심화하면서 민심도 요동치고 있다.

정부에 대한 불만 목소리가 곳곳에서 터져 나왔다.

일부 시민들은 거리로 뛰쳐나와 시위를 벌이고 있다.

궁지에 몰린 여권은 총리를 제외한 내각 총사퇴 카드를 꺼내 들었다.

야당에는 거국 중립내각 구성도 제안했다.

하지만 야당은 이런 제안을 거부한 채 정권을 장악한 라자팍사 가문의 퇴진을 요구하고 있다.

발라수리야 부장관은 "외환 이슈가 정치적 이슈가 된 상황"이라며 경제 위기가 극복되더라도 정치 개혁 요구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장외 투쟁을 고집하는 야당에 대해 "정치 체제 안에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함께 힘을 모으면 결실도 얻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디폴트' 스리랑카 외교부 부장관 "IMF 협상 지연에 위기 심화"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