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족·시민 등 299명 참석…김 총리 "정부가 국민생명 못 지켜" 사죄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한 8주기 기억식이 16일 오후 3시 경기 안산시 화랑유원지에서 열렸다.

해양수산부가 주최하고 4·16 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와 4·16재단이 공동 주관한 기억식에는 세월호 유가족, 김부겸 국무총리와 정부 부처 장관, 여야 정치인, 시민 등 299명이 참석해 희생자를 추모했다.

안산서 세월호참사 8주기 기억식…"희생 기억·진상 규명"
기억식은 참담한 희생을 잊지 않고 꼭 기억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묵념곡이 울리는 가운데 희생자에 대한 추모 묵념으로 시작됐다.

이어 내빈 추도사, 세월호 참사 생존 학생의 편지낭독, 시민 10명의 메시지 낭독, 416합창단의 공연 등 순서로 진행됐다.

김 총리는 추도사를 통해 "대한민국 정부가 국민의 생명을 지키지 못했다.

정부를 대표해 머리 숙여 사죄드린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지금도 우리 사회는 불편과 비용 절감을 이유로 안전을 양보하자는 목소리가 있는데, 그러면 안된다"고 강조하면서 "더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나가겠다는 유가족과 국민의 소중한 뜻을 정부가 받들어 나가겠다"고 했다.

이재정 경기도 교육감은 "304명 희생자가 못다 이룬 꿈을 새로운 내일의 희망으로 열어가겠다.

하늘의 별로 오른 희생자들의 꿈이 이 땅에 희망으로 피어 빛나게 하겠다"고 말했다.

박래군 4·16재단 상임이사는 "8년이 지나도 세월호 참사는 여전히 고통스럽게 남아 있다"며 "아이들이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것은 여야, 보수를 따질 수 없다.

우리가 견디는 시간이 미래 안전한 사회와 나라를 만드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했다.

김종기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정부는 세월호 참사의 진상을 규명하고 책임자를 처벌하는 의무와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억울하게 죽은 이유를 밝히는 것이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시작"이라면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새 정부는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완성해 공정과 상식 있는 국민 대통합의 대한민국을 만들어달라"고 말했다.

생존 단원고 학생인 장애진씨는 "구할 수 있었는데 구하지 않은 것은 사고가 아니다.

세월호 참사는 사고가 아니다"라고 강조한 뒤 "친구들아, 많이 지치고 힘들 부모님들과 나를 꿈속에서라도 나와서 껴안아 주고 가, 많이 보고 싶다"며 울먹였다.

416합창단의 추모 공연이 끝난 뒤 오후 4시 16분에 맞춰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사이렌이 1분간 울린 것을 끝으로 기억식은 종료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