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 내 고소득층 비율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부모 세대의 소득 격차가 자녀세대의 교육 및 소득 격차로 이어지는 고리가 갈수록 견고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14일 김병욱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장학재단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가장학금을 신청한 전국 의과대학 신입생 1221명 중 9구간(227명)과10구간(524명)에 해당하는 학생 수는 751명으로, 전체의 61.5%를 차지했다. 2017년(49.1%)에 비해 12.4%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2019년엔 59.1%였다. 지난해 국가장학금 9구간 대상으로 분류되려면 4인 가구 기준 월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의 두 배인 975만2580원을 넘어야 한다. 세 배인 1462만8870원을 초과하면 10구간으로 분류된다.

10구간 학생이 차지하는 비율만 놓고 봐도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2017년 38%였던 의대 신입생 내 10구간 학생 수 비율은 2019년 41%, 지난해 43%로 올랐다.

한국장학재단 자료는 의대 신입생 전원을 조사한 것은 아니어서, 전체 신입생 내 고소득층 비율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를 감안해도 의대의 고소득층 비율은 다른 대학보다 높은 편이다. 높은 고소득층 비율로 이슈가 된 이른바 ‘SKY대(서울대·고려대·연세대)’의 경우 지난해 국가장학금을 신청한 재학생 중 9·10구간 학생 수 비율은 의대보다 13.3%포인트 낮은 48.2%였다. 전문직 선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경쟁률이 상승한 약학대학 내 고소득층 비율(47.9%)도 의대에 비해 13.6%포인트 낮았다.

정시 확대 기조 속에 갈수록 어려워지는 대학수학능력시험도 대물림을 강화하는 배경으로 꼽힌다. 공교육에 의존할 수 없는 상황에서 학생들은 수능 대비를 위해 사교육을 찾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 입시학원 관계자는 “의대 정시 핵심 과목 중 하나인 과학탐구영역 변별력이 점점 커지고 있다”며 “고난도 과탐 모의고사를 제공하는 학원이 서울 대치동에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의 한 사립대 총장은 “교육의 핵심 역할 중 하나는 빈부의 세습을 막는 것이지만, 우리 사회에서 잘 작동하지 않고 있다”며 “하향 평준화된 공교육 수준을 높이는 동시에 대학의 소외계층 입학 비율을 의무화하는 정책 등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세영 기자 seyeong202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