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영남·60대 男'이 평균
고려대 4명 '약진'…연세대는 0명
영남 출신 7명…호남·충청 2명
평균 60.4세…60대 이상 10명
안철수계 배제로 공동정부 '적신호'
安, 尹과 도시락 만찬에 불참
"朴·MB인사 그대로 돌아와"
서울대 8명 중 법대가 5명
13일 윤 당선인의 2차 내각 인선 발표로 윤곽이 드러난 윤석열 정부 초대 국무위원 17명 중 서울대 출신이 8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 중 박진 외교부 장관 후보자를 비롯해 권영세(통일부) 한동훈(법무부) 이상민(행정안전부) 원희룡(국토교통부) 후보자 등 서울대 법대 출신만 5명이다. 문재인 정부 초대 내각(18명)에 서울대 법대 출신이 1명(이낙연), 박근혜 정부(17명)에선 2명(윤병세 진영)에 그친 점을 고려하면 서울대 법대 출신의 약진이 두드러졌다.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와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서울대 경제학과,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는 서울대 정치학과를 나왔다.
윤 당선인은 이날 발표 전 기자들과 만나 “능력과 인품을 겸비해 국민을 잘 모실 수 있는지가 인사 기준”이라고 말했다. 지난 10일엔 “(인선에) 할당이나 안배를 하지 않겠다”고도 했다. 인수위 한 관계자는 “출신 대학 등에 대한 인위적 안배 없이 인선을 하다 보니 특정 대학 쏠림현상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당선인이 자신이 잘 아는 서울대 법대 선후배와 측근 위주로 인선한 결과”라는 지적도 나온다.
고려대 출신 장관 후보자가 추경호(기획재정부) 박보균(문화체육관광부) 한화진(환경부) 조승환(해양수산부) 등 4명에 달하는 점도 눈에 띈다. 고려대 출신은 문재인 초대 내각에선 3명, 박근혜 정부에선 1명이었다. 경북대에서는 이종호(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호영(보건복지부) 등 2명의 장관 후보자를 배출했다. 문재인 정부에서 3명, 박근혜 정부에서 2명이던 연세대 출신 후보자는 이번엔 한 명도 없었다.
법조인 4명 중 3명 검사 출신
직업별로는 관료와 검사·판사 등 공무원 출신과 교수 기업인 등 전문가 출신이 각각 7명으로 동률을 이뤘다. 기업인 출신은 한국여성벤처협회장을 지낸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가 유일했다. 정치인 출신은 3명이다.장관 후보자 중 사법시험을 통과한 법조인 출신은 4명(권영세 한동훈 이상민 원희룡)이다. 이들은 모두 서울대 법대를 나왔다. 이상민 후보자를 제외한 나머지 3명은 윤 당선인과 같은 검사 출신이다.
국무위원 후보자의 출생지는 영남이 7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 4명, 호남·충청 각 2명 순이었다. 영남에서는 부산·경남(PK) 출신이 4명, 대구·경북(TK) 출신이 3명이다. 호남 출신은 문재인 정부(5명)에 비하면 대폭 줄었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 후보자가 73세인 한덕수 총리 후보자를 포함해 10명이고, 50대는 6명이다. 40대는 49세로 최연소인 한동훈 후보자가 유일했다. 평균 연령은 60.4세로 문재인 정부(61.3세) 대비 소폭 낮아졌다. 박근혜 정부 초대 내각은 59.1세였다. 국무위원 후보자 17명 중 여성은 한화진 김현숙 이영 등 3명(17.6%)이다. 여성 후보자는 문재인 정부 4명, 박근혜 정부에선 2명이었다.
安 측 “박근혜·이명박 인사 귀환” 혹평
이른바 ‘안철수계’ 인사는 전무했다. 앞서 안 위원장은 이태규 국민의당 의원과 신용현 인수위 대변인, 고산·유웅환 인수위원 등 일부 인사를 장관 후보로 추천한 것으로 전해졌다.18개 부처 중 고용노동부와 농림축산식품부 등 두 개 부처 인선이 남았지만 정치권에서는 “안철수계 인사가 내각에서 배제되면서 윤석열·안철수 단일화 시 합의한 공동정부 구성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안 위원장은 12일 기자들과 만나 “제가 전문성이 있는 분야는 조언하고 싶었지만 그런 과정은 없었다”며 공개적으로 불편한 심경을 내비쳤다. 안 위원장은 13일 윤 당선인과의 ‘도시락 만찬’에도 불참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대선에서 안 위원장을 도왔던 최진석 서강대 명예교수는 13일 이번 인선에 대해 “박근혜·이명박 정부 때 사람들이 그대로 다 돌아왔다”며 “각성의 세례를 통과한 냄새는 나지 않는다”고 혹평했다. 장관 인선 갈등으로 14일 국민의힘 최고위원회에 상정될 예정이던 국민의당과의 합당안 처리가 불투명해진 것 아니냐는 말도 나온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