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지역경제포럼…"새 정부가 지역경제 살릴 특단의 대책 세워야"
대한상의 "호남권, 주력산업 정체로 성장둔화…정부지원도 부족"
호남권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지 못해 지역 경제발전이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 차원의 지원마저 부족하다는 경제계의 지적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7일 광주상의에서 광주·전남·전북지역의 경제 현안과 대응 과제 점검을 위한 '제2차 지역경제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포럼에서 발표된 전국 6개 권역의 성장잠재력 지수(RGPI)를 보면 호남권은 2015년 전국 최하위인 6위(0.86)에서 2020년 4위(0.95)로 올라섰지만, 여전히 전국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성장잠재력 지수는 지역 내 인적자본, 산업구조 등을 토대로 성장역량을 수치화한 것으로, 기준점인 1을 넘으면 전국 평균 이상의 성장역량을 가진 것을 의미한다.

전북 지역 성장잠재력 지수는 2010년부터 1 미만으로 성장 정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김영수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호남권은 자동차·석유화학·철강 등 대한민국 주력산업의 생산거점으로서 국가 경제에 많은 기여를 했다"면서도 "최근 주력산업이 성장 정체를 겪고 있고, 신산업 육성에도 아직 구체적인 성과를 내지 못해 성장잠재력이 위축됐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대한상의가 분석한 지역내총생산(GRDP) 자료에 따르면 전체 GRDP에서 호남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9.6%에서 2015년 9.1%, 2020년 8.9%로 지속해서 떨어졌다.

대한상의 "호남권, 주력산업 정체로 성장둔화…정부지원도 부족"
포럼에서는 호남권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지난해 정부가 지출한 전체 연구개발 투자액 227조원 중 광주·전남·전북 지역 투자액은 18조원으로, 8.0%에 불과했다.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호남권에 투자된 금액은 지역경제 규모(GRDP 비중 8.9%)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김 선임연구원은 "호남권의 성장잠재력이 정체된 데는 4차 산업혁명 등 산업구조의 변화에 대한 대응이 미흡한 탓도 있지만, 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한 정부 대책이 부족한 면도 함께 작용했다"며 "지역의 성장잠재력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과 협업이 반드시 함께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병기 광주전남연구원 박사는 호남권 산업경쟁력 개선을 위한 해법으로 초광역 단위 협업을 통한 지역 산업생태계 구축을 제시했다.

광주광역시와 인근의 5개 시·군을 묶어 '빛고을 메가시티'를 구축하고, 헬스케어·모빌리티·스마트그리드 등 특화사업을 추진하는 구상이다.

아울러 광주·전남·전북을 '초광역 에너지 경제공동체'로 구축해 신재생에너지 역외공급 사업을 추진하거나 전남·경남·남부지역 광역시를 묶어 관광·문화 산업을 활성화하는 방안도 제안됐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호남권은 산업기반이 상대적으로 취약하고 지역경제도 위축돼 신성장동력을 키우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새 정부가 지역과 기업의 의견을 수렴해 지역을 실질적으로 살릴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