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당선인 "무고한 희생자 넋 따뜻하게 보듬을 것, 약속 잊지 않겠다"
강춘희 어르신 "마지막 희생자까지 명예 회복하는 그 날 따스한 봄이…"

제주 4·3사건 희생자의 넋을 위로하는 제74주년 4·3희생자 추념식이 3일 제주 4·3평화공원에서 열렸다.

"아픔 치유, 대한민국의 몫"…74주년 제주 4·3희생자 추념식(종합)
이날 추념식에선 과거의 슬픔과 미래의 희망이 교차했다.

참석자들은 가족을 잃은 비통함과 아픈 역사를 되새기며 눈물을 흘렸다.

하지만 4·3의 완전한 해결을 기대하며 새봄을 향한 희망을 품었다.

추념식은 오전 10시 제주 전역에 1분간 울려 퍼진 추모·묵념 사이렌과 함께 시작됐다.

묵념 사이렌이 울리는 동안 추념식에 참석한 김부겸 국무총리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등 참석자들은 고개를 숙인 채 묵념하며 영령들의 넋을 기렸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SNS에 올린 메시지를 통해 "5년 내내 제주 4·3과 함께해 왔던 것은 제게 큰 보람이었다"며 "언제나 제주의 봄을 잊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어 "김대중 정부의 4·3 특별법 제정, 노무현 정부의 진상조사보고서 발간과 대통령의 직접 사과가 있었기에 드디어 우리 정부에서 4· 3특별법의 전면 개정과 보상까지 추진할 수 있었다"며 "다음 정부에서도 노력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김 총리는 추념사를 통해 "제주의 잔인했던 봄은 푸른 바다 아래로 영원히 가라앉는 듯했으나 역사의 진실과 정의를 바라는 끈질긴 외침을 통해 마침내 역사의 심연에서 그 본 모습을 드러냈다"고 강조했다.

이어 "제주도민이 일궈낸 화해와 상생의 정신 속에서 대한민국의 역사는 분명히 앞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아픔 치유, 대한민국의 몫"…74주년 제주 4·3희생자 추념식(종합)
보수 정권의 대통령과 대통령 당선인 중 처음으로 참석한 윤 당선인은 "4·3의 아픔을 치유하고 상흔을 돌보는 것은 4·3을 기억하는 바로 우리의 책임이며 화해와 상생, 그리고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대한민국의 몫"이라고 말했다.

윤 당선인은 "제주 곳곳에 동백꽃이 만개했다.

완연한 봄이 온 것"이라며 "여러분 한 분, 한 분의 가슴에도 따뜻한 봄이 피어나도록 더 노력하겠다.

무고한 희생자의 넋을 국민과 함께 따뜻하게 보듬겠다는 약속, 잊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오임종 제주4·3유족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유족의 아픔을 어루만져 준 문재인 대통령과 약속을 지켜 추념식에 참석한 윤 당선인, 그리고 국민께 고마움을 전했다.

오 유족회장은 "정의로운 나라는 과거의 아픔을 치유하는 데에서 출발한다"며 "우리 12만 4·3 희생자 유족들은 화해하고 상생하여, 평화의 나라, 인권의 존중되는 정의로운 나라를 만드는 일에 국민과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유족 사연으로는 1살 때 변을 당해 3살 때 하늘나라로 간 강원희 희생자의 누나인 강춘희 어르신의 이야기가 공개됐다.

"저는 4·3으로 제 가족을 모두 잃었습니다"로 시작하는 강춘희 어르신의 이야기는 추념식 장내를 숙연하게 했다.

강춘희 어르신의 부친 고 강병흠 님은 토벌대에 의해 연행된 뒤 행방불명됐다.

이어 할아버지와 어머니, 4·3 당시 한 살배기였던 젖먹이 동생까지 사망했다.

"아픔 치유, 대한민국의 몫"…74주년 제주 4·3희생자 추념식(종합)
최근 조부 고 강익수 님이 일반재판 수형인으로 지난 3월 29일 무죄판결을 받아 70여 년 만에 오랜 한을 풀었고 남동생 고 강원희 군은 4·3 희생자로 결정됐다.

강 어르신은 "오늘은 저에게 참으로 따사로운 봄날"이라며 "마지막 한 사람의 희생자까지 명예를 회복하는 그 날 따스한 봄이 오면 동백은 꽃을 피우고 역사의 숨결 속에서 영원히 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헌화·분향 추모곡은 제주 출신의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 김윤희 씨가 연주했다.

또 가수 양지은 씨가 추모 공연을 해 희생된 영령들을 진혼했다.

4·3 희생자 추념일은 지난 2014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됐다.

정부는 화해와 상생의 가치를 공유하고 4·3 희생자와 유족의 명예 회복에 기여하기 위해 제주특별자치도와 함께 추념식을 개최하고 있다.

올해 추념식은 '4·3의 숨비소리, 역사의 숨결로'를 주제로 열렸다.

4·3 희생자의 마지막 숨소리를 우리의 역사에 깊이 간직하고, 나아가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되새기자는 의미를 담았다.

"아픔 치유, 대한민국의 몫"…74주년 제주 4·3희생자 추념식(종합)
정부의 진상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제주4·3사건은 1947년 삼일절 기념대회 당시 경찰의 발포사건 때부터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통행금지령이 해제될 때까지 7년 7개월간 군경의 진압 등 소요사태 와중에 양민들이 희생된 사건이다.

이번 추념식은 4·3 희생자에 대한 보상금 지급 기준이 규정된 '4·3특별법'의 시행을 앞두고 열렸다.

이 법을 통해 희생자와 유족들은 최대 9천만 원까지 보상금을 받게 된다.

보상금 지급 신청은 오는 6월 1일부터 2025년 5월 31일까지 3년간 접수된다.

한편 이날 추념식에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보수 정권의 대통령과 대통령 당선인 중 처음으로 참석했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3년 사건 발생 55년 만에 국가원수로서 첫 사과를 했고, 2006년 58주기 추념식에 현직 대통령으로서 처음 참석한 바 있다.

이어 보수 정부를 거치면서 대통령의 직접 참석이 이뤄지지 않다가 문재인 대통령이 2018년 70주기 추념식에 12년 만에 참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