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의 만찬 회동에서 '대통령 집무실 이전 문제'와 관련 예산 등 협조 의사를 보였다.

28일 윤 당선인 측 장제원 비서실장은 이날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의 만찬 종료 이후 통의동 인수위 브리핑에서 "자연스럽게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얘기가 나왔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추가경정예산안 편성, 임기 말 인사권 문제 등에 대해서도 실무 협의를 하기로 했고, 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 문제는 언급되지 않았다고 장 비서실장은 전했다.

장 비서실장에 따르면 이날 문 대통령은 "집무실 이전 지역에 대한 판단은 차기 정부 몫이라 생각하고, 지금 정부는 정확한 이전 계획에 따른 예산을 면밀히 살펴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장 비서실장은 '집무실 이전 예산을 위한 예비비를 국무회의에 상정할지 논의했느냐'는 질문에 "그런 절차적 구체적인 얘기는 하지 않았다"면서 "제가 느끼기엔 아주 실무적으로 시기라던지, 이전 내용이라든지 이런 것을 공유해서 대통령께서 협조하겠다는 말씀으로 이해했다"고 덧붙였다.

또 '취임식 이전에 집무실 이전도 가능한가'라는 질문에 "두 분께서 시기까지 가능하다, 하지 않다는 말은 없었지만 어쨌든 문 대통령이 협조를 하고 실질적인 이전 계획 예산을 면밀히 살펴보겠다고 말씀하셨다"고 전했다.

장 비서실장은 브리핑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집무실 이전 문제는) 누가 이걸 먼저 꺼냈다고 하기보다 유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이 언급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어 "당선인께서 옮기는 취지와 '전 정권, 전전 정권 또 문민정권 때부터 청와대 시대를 마감하고 국민과 함께하는 그런 시대를 열겠다고 말씀하셨는데 현실적인 어려움 때문에 이전을 못 하지 않았나. 이번만큼은 좀 본인이 꼭 이걸 하고 싶다'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장 비서실장은 "(문 대통령이) 구체적으로 면밀히 따져 보신다고 하니 실무자 간에 이전 내용, 이전 계획, 시기를 따져서 면밀하게 행정안전부나 기획재정부가, 예산을 담당 부서에서 처리한다고 한다면 협조하겠다고 해서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2차 추경 편성 문제에 대해서는 시기나 규모는 구체적으로 얘기하지 않았지만, 추경 필요성에는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 모두 공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철희 정무수석과 장 비서실장이 실무적으로 계속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인사권 문제와 관련해서는 구체적으로 '어떤 인사를 어떻게 하자'는 얘기는 전혀 없었다고 장 비서실장은 전했다.

그는 "대통령과 당선인은 안보 문제에 대해 논의했고, 정권 인수인계 과정에서 한 치의 누수가 없도록 서로 최선을 다해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문 대통령께서 '숨 가쁘게 달려왔는데 마지막 남은 임기 코로나19를 잘 관리해서 정권 이양하는 게 가장 큰 숙제로 안다. 최선을 다해 잘 관리해 정권을 인수·인계하겠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장 비서실장에 따르면 이날 이명박 전 대통령 등의 사면 문제에 대해서는 일절 거론하지 않았고, 정부 조직개편 문제나 조국 전 법무장관에 대한 언급도 없었다.

한편, 이날 오후 5시59분께 만난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은 청와대 상춘재에서 오후 8시50분까지 총 2시간50분가량 회동했다. 이 가운데 만찬은 2시간36분간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9일 대선이 치러진 지 19일 만에 성사된 이날 만찬 회동은 역대 현직 대통령과 당선인 회동 중 가장 늦게 이뤄졌지만 가장 오랜 시간 대화한 셈이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