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까지 인하 유지"…경제불안에 야권선 총리 불신임 움직임
파키스탄, 국제유가 급등에도 국내가격 인하…민심수습 고육책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최근 국제유가가 치솟는 가운데 '경제난'에 시달리는 파키스탄이 오히려 국내 가격을 인하해 눈길을 끈다.

물가 인상과 경제 불안으로 민심이 들끓자 당국이 '고육지책'을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1일(현지시간) 지오뉴스 등 파키스탄 언론에 따르면 임란 칸 파키스탄 총리는 전날 오후 TV연설을 통해 "휘발유와 경유의 가격을 리터당 10루피(약 68원), 전기요금은 kWh당 5루피(약 34원)씩 인하하겠다"고 밝혔다.

칸 총리는 이어 오는 6월까지 인하된 가격을 유지하겠다고 약속했다.

파키스탄의 국내 기름값과 전기요금은 지난해 여러 차례 인상됐다.

60억달러 규모의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을 받는 조건에 이런 세수 확충이 포함됐기 때문이다.

그간 인상폭을 고려했다고 하더라도 이번 유가 인하는 최근 국제유가 흐름에 역행하는 조치로 여겨진다.

지난해 6월 배럴당 40달러 수준이던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이 지난달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다는 소식에 2014년 이후 처음으로 배럴당 100달러를 돌파할 정도로 급등했기 때문이다.

심각한 재정 부담이 예상되는 상황임에도 칸 총리가 유가 인하라는 '강수'를 둔 것은 국내 정치 상황이 더 다급하기 때문이다.

중국이 주도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사업 등으로 인해 막대한 부채를 지고 있던 파키스탄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까지 겹치며 더욱 큰 어려움에 빠졌다.

현지 일간 익스프레스트리뷴은 최근 파키스탄의 대외 채무가 오는 6월이면 1천3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이처럼 경제가 불안한 가운데 물가는 급등했다.

지난달 기준 연소비자물가는 12.2%나 뛰었다.

경제가 불안해지자 민심은 돌아서기 시작했고 야권에서는 대규모 집회를 벌이면서 칸 총리에 대한 불신임 결의까지 추진하고 있다.

파키스탄, 국제유가 급등에도 국내가격 인하…민심수습 고육책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