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성 28% "결혼 안 해도 아이 가질 수 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시 '2021 성인지 통계' 발간…여성 58.1% "결혼 안 해도 동거 가능"
"1인가구, 여성이 남성보다 많아…50대까지 투표율도 여성이 더 높아" 서울에 사는 여성 3∼4명 중 1명꼴로 결혼하지 않아도 아이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서울시가 발표한 '2021년 성인지 통계: 통계로 보는 서울 여성'에 따르면 서울에 사는 여성 28.1%가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고 답했다.
같은 응답을 한 남성 비율은 31.6%였다.
'남녀가 결혼을 하지 않더라도 함께 살 수 있다'고 답한 비율은 여성 58.1%, 남성 60.8%로 남녀 모두 절반을 넘었다.
'결혼생활에 있어 당사자보다 가족 간의 관계가 우선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남성(52.7%)이 여성(47.2%)보다 높았다.
서울시 성인지 통계는 2018∼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사회조사', '서울서베이조사' 등 결과를 토대로 주요 부문별 성별 데이터를 분석해 만든 자료다.
서울의 남녀 인구를 보면 지난해 2분기 주민등록인구 약 979만 명 중 여성이 51.4%(약 503만9천명)로 남성(48.6%, 약 475만6천명)보다 많았다.
서울의 여성 인구 비율은 2005년(50.2%) 이후 계속 증가세다.
연령별로 보면 여성 인구 중 유소년 비율이 2005년 15.7%에서 2020년 10.1%로 줄었고, 같은 기간 고령 인구는 8.4%에서 16.7%로 갑절 가까이 늘었다.
남성도 유소년 비율은 17.5%에서 11.2%로 감소한 반면, 고령 인구는 6.2%에서 14%로 갑절 넘게 증가했다.
1인 가구는 2020년 기준 약 139만 가구 중 여성이 53.2%(약 74만 가구), 남성이 46.8%(약 65만 가구)였다.
정치 참여 분야를 보면 2020년 4월 치러진 '제21대 국회의원선거'에서 여성 투표율(68.5%)이 남성(67.6%)보다 소폭 높았다.
연령별로는 50대까지 여성 투표율이 남성보다 높았지만, 60대 이상부터는 남성 투표율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사회참여 활동으로는 온라인으로 이뤄지는 '정치사회적 의견 달기'가 남성(21%)과 여성(16.7%) 모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민원제안 및 제기', '집회·시위 참가', '정책 제안' 순이었다.
스마트폰 의존도가 점차 높아지는 가운데 여성 37.9%, 남성 32.2%가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건강 문제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여성 24.6%, 남성 26.5%가 스마트폰 과의존으로 주변 사람과 다툼이 발생했으며, 여성 30.4%, 남성 29.8%가 스마트폰 사용으로 업무나 학업 수행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이후 생활 변화를 보면 2020년 '혼자서 여가활동을 한다'는 응답이 여성 25.4%, 남성 26.6%로 전년보다 각각 7.2%포인트, 7.3%포인트 높아졌다.
남성은 컴퓨터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운동을 더 많이 했고, 여성은 종교활동을 남성보다 더 많이 했다.
코로나19 이후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여성 34.7%, 남성 33.4%가 '가족 갈등이 증가했다'고 답했다.
연령별로는 10대 여성(48.1%)이 가족 갈등을 경험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연합뉴스
"1인가구, 여성이 남성보다 많아…50대까지 투표율도 여성이 더 높아" 서울에 사는 여성 3∼4명 중 1명꼴로 결혼하지 않아도 아이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서울시가 발표한 '2021년 성인지 통계: 통계로 보는 서울 여성'에 따르면 서울에 사는 여성 28.1%가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고 답했다.
같은 응답을 한 남성 비율은 31.6%였다.
'남녀가 결혼을 하지 않더라도 함께 살 수 있다'고 답한 비율은 여성 58.1%, 남성 60.8%로 남녀 모두 절반을 넘었다.
'결혼생활에 있어 당사자보다 가족 간의 관계가 우선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남성(52.7%)이 여성(47.2%)보다 높았다.
서울시 성인지 통계는 2018∼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사회조사', '서울서베이조사' 등 결과를 토대로 주요 부문별 성별 데이터를 분석해 만든 자료다.
서울의 남녀 인구를 보면 지난해 2분기 주민등록인구 약 979만 명 중 여성이 51.4%(약 503만9천명)로 남성(48.6%, 약 475만6천명)보다 많았다.
서울의 여성 인구 비율은 2005년(50.2%) 이후 계속 증가세다.
연령별로 보면 여성 인구 중 유소년 비율이 2005년 15.7%에서 2020년 10.1%로 줄었고, 같은 기간 고령 인구는 8.4%에서 16.7%로 갑절 가까이 늘었다.
남성도 유소년 비율은 17.5%에서 11.2%로 감소한 반면, 고령 인구는 6.2%에서 14%로 갑절 넘게 증가했다.
1인 가구는 2020년 기준 약 139만 가구 중 여성이 53.2%(약 74만 가구), 남성이 46.8%(약 65만 가구)였다.
정치 참여 분야를 보면 2020년 4월 치러진 '제21대 국회의원선거'에서 여성 투표율(68.5%)이 남성(67.6%)보다 소폭 높았다.
연령별로는 50대까지 여성 투표율이 남성보다 높았지만, 60대 이상부터는 남성 투표율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사회참여 활동으로는 온라인으로 이뤄지는 '정치사회적 의견 달기'가 남성(21%)과 여성(16.7%) 모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민원제안 및 제기', '집회·시위 참가', '정책 제안' 순이었다.
스마트폰 의존도가 점차 높아지는 가운데 여성 37.9%, 남성 32.2%가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건강 문제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여성 24.6%, 남성 26.5%가 스마트폰 과의존으로 주변 사람과 다툼이 발생했으며, 여성 30.4%, 남성 29.8%가 스마트폰 사용으로 업무나 학업 수행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이후 생활 변화를 보면 2020년 '혼자서 여가활동을 한다'는 응답이 여성 25.4%, 남성 26.6%로 전년보다 각각 7.2%포인트, 7.3%포인트 높아졌다.
남성은 컴퓨터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운동을 더 많이 했고, 여성은 종교활동을 남성보다 더 많이 했다.
코로나19 이후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여성 34.7%, 남성 33.4%가 '가족 갈등이 증가했다'고 답했다.
연령별로는 10대 여성(48.1%)이 가족 갈등을 경험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