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수출입 물량·금액 역대 최고…교역조건은 악화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수입금액지수가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석유제품의 수입금액지수 증가율은 약 3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2021년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수입금액지수(2015년 100 기준)는 142.43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 평균(107.90)보다 32.0% 오른 수치다. 지수 자체만 보면 1988년 1월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다.

특히 지난해 석탄·석유제품의 수입금액지수는 2020년 대비 79.4% 상승한 바 있고, 이는 1990년(182.3%) 이후 31년 만의 최고치다.

수입물량지수는 124.14로, 역대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상승률은 9.7%를 기록, 2010년(15.4%) 이후 가장 높았다.

수출입금액지수는 비교 시점의 통관 수출입금액(달러 기준)을 기준시점(2015년) 수출입금액으로 나눈 지표다.

수출입물량지수는 이렇게 산출된 수출입금액지수를 수출입물가지수로 나눈 지표다.

수출 물량지수와 금액지수는 각각 120.52, 128.11로 역대 최고치였다.

증가율을 살펴 보면 수출물량지수의 경우 8.1% 올라 2011년(13.9%) 이후, 금액지수의 경우 26.5% 오르며 2010년(31.4%)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지난해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2020년(95.27)보다 2.8% 하락한 92.65였다.

일반적으로 수출상품과 수입상품의 교환비율을 나타내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출상품 한 단위 가격과 수입 상품 한 단위 가격의 비율이다.

우리나라가 한 단위 수출로 얼마나 많은 양의 상품을 수입할 수 있는지 가늠할 수 있어 교역조건이 어떠한지 보여준다.

최진만 한은 경제통계국 물가통계팀장은 지난해 순상품교역조건지수가 하락한 배경에 대해 "국제 유가와 원자재 가격이 오르며 수입가격 상승에 큰 영향을 미쳤다"며 "2020년과 비교하면서 기저효과도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 수출 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전체 상품의 양을 나타내는 소득교역조건지수는 5.1% 오른 111.66이었다.


강미선기자 msk524@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