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이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설 연휴 후 현행보다 더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는 도입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했다.

손영래 보건복지주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27일 "(설 연휴 후) 가급적 거리두기 조치를 강화하지 않는 쪽으로 운영할 예정"이라고 했다.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는 사적모임 인원을 최대 6명, 식당과 카페 등 영업시간을 오후 9시까지로 제한하고 있는데 지난 17일 시작해 내달 6일 끝난다. 정부는 주말을 포함해 오는 29일부터 내달 2일까지 이어지는 설 연휴가 지나면 6일 이후 거리두기 조정 방침을 정해야 한다.

정부는 이동량이 많은 설 연휴가 오미크론 확산 분수령이라고 보고 있지만, 확진자가 늘어나는 상황만 보고 거리두기 강화를 결정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손 반장은 "거리두기는 고도의 사회경제적 비용이 발생하는 조치다. 확진자가 늘었다고 거리두기를 하는 게 아니다"며 "중증 환자와 사망자가 늘고 의료붕괴 상황이 벌어질 때 사회경제적 피해를 감수하고 거리두기로 확진자 규모를 줄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가급적 거리두기를 더 강화하는 부분 없이 오미크론 유행을 관리하는 게 최선이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오미크론은 전파력은 델타 변이보다 2배 이상 빠르지만 중증화율과 치명률은 낮은 것이 특징이다. 확진자 규모가 커지면 위중증 환자도 늘어날 수밖에 없지만, 아직은 확진자 급증의 영향이 위중증 환자 증가로 이어지지 않았다.

최근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거리두기를 강화해야 한다는 요구가 빗발치는 것에 대해 손 반장은 "방역 당국으로서는 곤혹스럽다"며 "2∼3주 전에는 거리두기와 방역패스를 해제해야 한다는 요구가 컸는데, 양쪽 다 조급한 것 같다"고 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