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진 독일에 고심하는 중국…中 전문가 "조정시간 필요"
올라프 숄츠 신임 총리가 이끄는 독일 연립정부가 신장위구르의 인권 침해를 공론화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하는 등 중국 친화적이던 메르켈 정부와 다른 대중 정책을 펼치면서 중국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특히 인권 문제에 강경한 녹색당이 외교 정책을 총괄하면서 중국의 인권 문제에 목소리를 높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독일 새 정부와 중국 간 관계가 긴장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중국 전문가들은 독일의 대중 정책 변화를 우려하면서도 숄츠 정권이 어떤 대중 정책을 펼지는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펑중핑(馮仲平) 중국사회과학원 유럽연구소 소장은 17일 관영 글로벌타임스와 인터뷰에서 "독일이 대중 정책에 변화를 줄지 또 어느 정도까지 바꿀지는 시간이 필요하다"면서 "이전 메르켈 정부와 달리 현 연정은 내부 분열을 가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펑 소장은 이어 "숄츠 총리가 이끄는 사회민주당은 메르켈 정부와 같은 실용주의 대중 정책을 고수하고 있지만, 녹색당은 인권에 중점을 둔 급진적인 입장을 옹호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허즈가오 중국사회과학원 유럽연구소 연구원도 "이제 막 집권한 새 독일 정부는 국정 운영에 조금씩 익숙해지고 있다"면서 "이들은 외교 정책을 조정할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강조되는 인권 문제는 메르켈 정부 시기에도 중국과 독일 간 이견이 존재했다"면서 "새 독일 정부의 이런 태도가 중국에 대한 실용주의적 접근을 포기한다는 의미는 아니다"고 봤다.

그러면서 "중요한 것은 어떻게 하면 더 많은 협력을 추구하면서 이견을 조율하느냐"라며 "이는 독일 정부에 도전이자 독일 지도자들에 대한 정치적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새로 출범한 독일의 신호등(사민당-빨강·자유민주당-노랑·녹색당-초록) 연정은 향후 4년간 정부정책방향을 밝힌 연정협약서에서 우리는 특히 신장위구르 지역을중심으로 한 중국의 인권 침해를 분명하게 공론화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