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기존 2018년 대비 26.3%감축을 목표로 했다.

하지만 지난 10월 18일 탄소중립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를 통해 감축량을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40% 감축을 목표로 대폭 상향했다.

● 농축산

영농법 개선, 저탄소 어선 보급 등을 통해 농경지와 수산업 현장에서의 온실가스 발생을 최소화하고, 저탄소 가축 관리와 식생활 전환, 저탄소 단백질 식품개발 등을 통해 2018년 대비 배출량을 37.7% 감축한다는 계획이다.

● 탄소중립을 위한 한국지역난방공사의 노력

한국지역난방공사 측은 탄소중립 실현을 선도하기 위해 지난 11월 탄소경영 체제로의 전환을 선포하며, 무탄소 열원 개체·탄소배출 저감수단 적용 및 그린뉴딜 사업 추진등을 통해 오는 2050년 탄소중립을 넘어선 Net-Zero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한 주요 방안으로는 열병합발전 설비에 대해 2050년 이전 수명이 만료하는 설비는 수소 터빈으로 개체하고 2050년 이후에도 가동되는 일부 설비는 온실가스 포집·저장·활용기술(CCUS)을 적용할 예정이다.

또한 보일러 설비는 신재생 잉여전력 활용을 통해 난방을 공급하는 P2H(Power to Heat)설비를 설치하여 탄소배출을 줄이고 전력계통의 안정성 확보를 이루며 미활용 열에너지 이용 및 바이오가스를 활용하는 그린뉴딜사업으로 국가 온실가스를 감축하며 탄소중립을 달성할 계획이다.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수준으로 줄이고, 2050년에는 ‘탄소제로’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온실가스 배출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에너지 업계로선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진 셈이다.

전 세계가 2050년까지 탄소중립에 성공하지 못하면 2100년에는 지구 온도가 1.5도 상승할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탄소 배출을 억제하는 것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이에 발맞춰 지난해 우리나라도 탄소중립을 선언했지만 아직 걸음마 수준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지역난방공사 등 산학연 관계자들은 구체적인 전략을 짜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탄소중립 정책과 에너지자원의 분산화는 집단에너지 사업의 위기일 수 있다는 견해가 제시됐지만, 사용연료를 석탄이나 유류에서 LNG로 바꾼 점 등을 볼 때 연료 전환의 유연성이 높아지면서 오히려 기회에 가깝다는 분석에 무게가 실렸다.

탄소를 포집하는 기술인 CCUS가 전제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CCUS 기술이 바이오매스나 연료전지, 수소에너지 등과 접목이 가능해지면 탄소 배출 부담을 낮춘 채로 열이나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황창화 한국지역난방공사 사장은 "장기적으로 가정의 모든 에너지가 전기화가 되면서 넷제로가 달성될 수 있겠지만, 단기적으로 국민들에게 안정적인 전기, 난방, 온수 공급이 보장되는 탄소 저감 대책이 당장에는 대비돼야 한다"면서 "집단에너지는 이미 타 방식 대비 에너지절감효과와 온실가스 저감효과가 뛰어난 에너지 공급 모델"이라고 말했다.

또 탄소중립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소외되는 사람이나 산업을 지원하는 '공정 전환 중심'으로 탄소중립을 실천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전의찬 세종대 기후변화특성화대학원 책임교수는 "기후변화의 인간에 의한 영향이 95%로 평가했는데, 이번 보고서는 자명하다. 100%라고 이야기하고 있다"면서 "지구 온난화는 분명하고 지속적이고 더 급속하게 진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지역난방공사 "집단에너지로 탄소중립 실현" [영상뉴스]
송민화기자 mhsong@wowtv.co.kr
한국지역난방공사 "집단에너지로 탄소중립 실현" [영상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