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신모씨(35)는 들고 있는 주식을 팔아야 하나 고민이 깊다. 15일(현지시간) 미국 중앙은행(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국내 증시가 조정받지 않을까 하는 걱정 때문이다. 신씨의 포트폴리오가 주로 성장주를 담고 있어 FOMC 결과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것도 고민을 깊게하는 요인이다.

FOMC를 앞두고 글로벌 증시가 흔들리는 조짐을 보이면서 신씨와 같은 고민을 하는 투자자가 많다. 14일 코스피지수는 0.46% 떨어진 2987.95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홍콩 항셍지수는 1% 넘게 떨어졌다. 닛케이225, 상하이종합, 대만 자취안 등 아시아 주요 증시가 모두 하락했다. 전날 미국 증시가 FOMC 리스크 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이 나오면서 나스닥(-1.39%), S&P500(-0.91%) 등이 약세를 보인 영향이 컸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FOMC를 앞둔 시장 대응 전략을 놓고 “주식 비중을 줄이고 현금을 들고 있을 때”라는 의견과 “금리 인상 우려는 이미 반영된 것”이라는 반론이 맞서고 있다.

이번 FOMC에서 인플레이션을 이유로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 시기를 앞당길 가능성이 높다는 게 주식 비중을 줄여야 한다는 주장의 주된 근거다. 미국의 11월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6.8%로, 1982년 이후 최고 수준이었다. Fed 목표치(2%)의 세 배가 넘는다. 이번 회의 결과 내년도 금리 인상 신호가 포착되면 시장에 추가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조익재 하이투자증권 전문위원은 “최근의 인플레이션 상승세를 고려하면 시장 기대보다는 매파적(긴축 정책)으로 나올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개인 투자자는 중소형 주식 비중을 줄이고 현금을 들고 있는 게 전략적으로 나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

반대로 테이퍼링 리스크는 이미 가격에 반영됐다는 반론도 있다. 노동길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테이퍼링 가속화가 나올 가능성이 높더라도 한국 주식시장의 상대적인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은 이미 반영된 수준”이라며 “FOMC 이후 오히려 가격 회복세를 이어갈 수 있는 만큼 외국인이 비중을 확대하고 있는 반도체, 2차전지 등에 관심을 가질 만하다”고 조언했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